어느 날 할머니께서 갑자기 치맛자락을 주섬주섬 걷어 올리시더니 속곳 주머니에서 무언가를 꺼내 건네 주셨다. 들여다보니 그것은 다름 아닌 만 원짜리 한 장이었다.
아니 ‘거지 할머니’가 어디서 돈이 생겼냐고 묻자, 마리아 할머니는 울먹이며 생전 얼굴조차 보이지 않던 아들이 갑자기 찾아왔고 용돈까지 주고 갔다고 답했다.
얼마 뒤, 마리아 할머니는 미사 후에 또다시 만 원짜리 한 장을 내놓았다.
“신부님, 성당 건립 기금입니다.”
뒤이어 할머니는 아들 집에 다녀왔다며 자랑을 늘어놓았다. 구걸하며 하루하루 연명하던 할머니 일상의 변화는 그야말로 한 편의 드라마와도 같았다.
그날 이후, 할머니는 매 주일마다 담배 한 갑을 내게 쥐어 주셨다. 안 받겠다 사양하자 억지로 내 수단 주머니에 쑤셔 넣었다. 그런데 어느 날엔 할머니가 주신 담배가 납작하게 눌려 있었다. 이유를 물었더니, 한 주일 내내 담배를 속곳에 넣어 보관해 잠자는 사이에 짓눌렸다는 것이었다.
할머니는 아들에게 용돈을 받으면 가장 먼저 헌금과 교무금, 성당 건립기금으로 나누어 책상 위에 올려두고, 담뱃값도 미리 빼서 담배를 사두었다고 한다. 마침 집에 온 아들이 그 담배를 보곤 어머니가 자신에게 주는 것인 줄 알고 가져가는 바람에 할머니는 ‘이래선 안 되겠다’ 싶어 이후부터는 담배를 속곳에 넣기 시작했다는 것이다.
할머니의 설명을 듣고 담배를 한 대 물었더니, 정말 향기로운 냄새가 났다. 사목위원들에게도 한 개비씩 나누어 주었더니 모두들 맛있는 담배라고 응답했다. 아마도 할머니의 꾸밈없는 사랑이 가득 담겼기 때문이리라.
지금도 미사 후 담배를 피우게 되면, 그 옛날 치마를 걷어 올려 속곳 주머니에서 담배를 꺼내주시던 마리아 할머니가 생각나곤 했다. 한 끼 한 끼 걱정하며 구걸을 했던 할머니가 이젠 신부에게 담배도 사주게 되었으니 그 마음이 얼마나 뿌듯하셨을까? 지금도 담배를 한 모금 빨면서 그때 일을 떠올리면 담배연기가 더욱 향기롭게 다가온다.
(마리아할머니 이야기가 계속 이어집니다)
이영배 신부(교구 사무처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