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수원교구 생태환경위원회, 본당 생태환경분과 연수
‘본당 공동체에서의 찬미받으소서 7년’ 주제로 논의1월 18일 수원교구청 2층 대강당에서 열린 생태환경분과 연수 중 송영민 신부가 강의하고 있다. 이승훈 기자수원교구 생태환경위원회(위원장 양기석 스테파노 신부)는 1월 18일 교구청 2층 대강의실에서 본당 생태환경분과 연수를 진행했다.이번 연수는 ‘본당 공동체에서의 찬미받으소서 7년’을 주제로 마련, ‘찬미받으소서 7년 여정과 「하느님을 찬미하여라」(Laudate Deum)’ 강의와 ‘본당에서의 찬미받으소서 7년 여정’에 관한 나눔을 중심으로 이뤄졌다. 연수에는 교구 내 각 본당 생태환경분과장 및 위원, 본당 상임위원 등 70여 명이 참석했다.‘찬미받으소서 7년 여정과 「하느님을 찬미하여라」’는 생태신학 박사인 송영민 신부(아우구스티노·주교회의 사무국장)가 강의로 진행됐다. 송 신부는 강의를 통해 ▲생태적 회심 ▲경이로움의 재발견 ▲지구의 울부짖음, 가난한 이의 울부짖음 ▲돌봄의 문화 등에 관해 이야기 나눴다.또한 이날 연수 중 각 본당 생태환경분과 관계자들은 각 본당에서 실천하는 찬미받으소서 7년 여정에 관한 실천사항과 준비 활동에 대한 방안을 논의하고 공유하는 시간을 보냈다. 참가자들은 특히 ‘우리 공동의 집’을 지키기 위해 해야 할 일과 이 일을 함께할 사람들을 구체적으로 찾아보며 토의했다.송영민 신부는 “그리스도교에서 말하는 회개는 단순히 잘못을 고치라는 좁은 의미가 아니라 예수 그리스도가 제시하신 더 좋은 가치, 더 나은 선택을 향한 길로 방향을 전환하라는 뜻으로, 생태적 회개도 마찬가지”라고 설명하고 “우리의 작은 생태적 실천이 지구 어느 한 곳을 아름답게 가꾸는데 분명히 도움을 줄 것이며 돌봄의 문화에 기여할 수 있다는 것을 놓치지 않았으면 좋겠다”고 말했다.이승훈 기자 joseph@catimes.kr[언론사 기사 바로가기]
- 수원교구 교정사목위, 희년 맞이 ‘그루터기 연수’
- 2025년 수원교구 신년음악회 성황리 마쳐
-
한국카리타스인터내셔널, 2024년 해외원조에 46억 원 지원
한국카리타스인터내셔널, 2024년 해외원조에 46억 원 지원한국천주교주교회의의 공식 국제개발협력기구인 (재)한국카리타스인터내셔널(이사장 조규만 주교)은 2025년 1월 26일 해외원조주일(매년 1월 마지막 주일)을 앞두고 전년도 해외원조 지원 내역을 결산, 발표하였다. 한국카리타스인터내셔널은 2024년에 28개 국가에서 45개 해외원조 사업에 한화 46억 4,676만 1,163원(미화 338만 674달러)을 지원하였다. 이로써 1993년 공식 해외원조를 시작한 이후 32년 동안 누적 지원금 775억 원을 기록했다.사업 유형별로는 긴급구호 21개 사업에 23억 1,919만 4,511원(50%), 개발협력 24개 사업에 23억 2,756만 6,652원(50%)을 지원하였다. 대륙별로는 아프리카 15개 사업에 12억 7,318만 3,711원(27%), 중동 10개 사업에 13억 2,744만 7,632원(29%)으로 전체 지원금의 56%를 두 대륙에 지원하였다. 이밖에도 아시아 9개 사업에 9억 9,623만 3,020원(21%), 유럽(튀르키예, 우크라이나. 아르메니아) 5개 사업에 6억 9,915만 4,600원(15%), 중남미 6개 사업에 3억 5,074만 2,200원(8%)을 지원하였다. 한국카리타스인터내셔널은 1975년에 시작된 ‘인성회’를 이어받은 법인으로서 2025년 올해 50주년을 맞이한다. 한국카리타스인터내셔널 이사장 조규만 주교는 2025년 해외원조주일 담화를 통해 “전쟁 후 외국의 도움으로 굶주림에서 벗어나 선진국으로 발전할 수 있었던 우리가 이제 다른 어려운 나라 사람들을 도와줄 차례”라고 강조하면서, 한국카리타스인터내셔널과 함께 세계 가난한 이웃들을 돕는 일에 한국 교회의 모든 신자가 동참할 것을 청했다.☞ 담화 전문 = https://cbck.or.kr/Notice/20250005한국카리타스인터내셔널은 로마 교황청에 본부를 둔 국제 카리타스(Caritas Internationalis)의 회원기구이다. 전 세계 162개 국제 카리타스 회원기구들은 각국 주교회의와 연계하고 회원기구 간에 상호 협력하며 전 세계 재난 지역의 긴급구호와 중·장기 개발협력 사업을 전개한다. 한국카리타스인터내셔널의 해외원조 지원금은 후원회원들의 후원금과 매년 해외원조주일에 전국 1,780여 개 성당에서 신자들이 봉헌하는 특별 헌금으로 조성된다. [주요 긴급구호 사업](1) 분쟁 피해 및 난민 긴급구호: 총 11개 사업에 13억 298만 3,400원(미화 95만 달러) 지원, 2024년 긴급구호 지원금의 57%오랜 기간 전쟁이 지속되거나 새로 발생한 분쟁으로 극심한 피해를 입은 팔레스타인 가자지구와 레바논, 우크라이나, 수단, 콩고민주공화국, 미얀마 피란민들의 고통을 경감시킬 수 있도록 총 11개 긴급구호 사업을 지원하였다. ▲ 우크라이나 전쟁 피해 긴급구호▲ 레바논 전쟁 피해 긴급구호(2) 식량 위기 긴급구호: 총 7개 사업에 5억 7,213만 2,003원(미화 41만 달러) 지원, 2024년 긴급구호 지원금의 24%극심한 가뭄과 기후변화로 식량 공급이 불안정해진 에리트레아, 말라위, 모잠비크, 짐바브웨, 잠비아, 부르키나파소, 말리, 니제르에서 긴급 식량 지원 사업을 추진하기 위한 7개 긴급구호 사업을 지원하였다. (3) 자연 재해 긴급구호: 총 3개 사업에 4억 4,407만 9,108원(미화 32만 달러) 지원, 2024년 긴급구호 지원금의 19%기후 위기로 극심한 홍수 피해를 입은 마다가스카르에 1개 긴급구호 사업을 지원하였으며, 2023년 튀르키예-시리아에서 발생한 강진 피해에 대한 복구 작업을 추진하기 위해 2개의 긴급구호 사업을 지원함.▲ 마다가스카르 홍수 피해 긴급구호[주요 개발협력 사업](1) 아동 교육과 영양 지원 사업: 총 9개 사업에 11억 1,357만 9,720원(미화 81만 7,000달러) 지원, 2024년 개발협력 지원금의 48%전 세계 빈곤 지역에서 교육 기회가 박탈된 아동·청소년들에게 기초 교육과 고등 교육을 제공하였으며, 취약계층 아동들을 대상으로 급식과 영양 지원 사업을 추진하였다. 2024년도에는 아시아의 방글라데시, 스리랑카, 키르키스스탄, 태국(미얀마 난민), 중동의 이라크, 중남미의 브라질과 아이티에서 아동,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총 9개의 중·장기 교육 사업을 지원하였다.(2) 전쟁 피해자 지원 사업: 총 5개 사업에 7억 3,175만 620원(미화 53만 1,000달러) 지원, 2024년 개발협력 지원금의 31%장기화되고 있는 전쟁으로 고통을 겪고 있는 팔레스타인과 우크라이나의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긴급 지원과 직업 훈련, 심리사회적 지원을 제공하였다. 팔레스타인 위기 가정 지원, 여성 직업 훈련, 우크라이나 인신매매 피해자 지원, 전쟁 피해자 심리사회적 지원 사업을 추진하였다. (3) 식량 안정 사업: 총 3개 사업에 2억 141만 4,000원(미화 15만 달러) 지원, 2024년 개발협력 지원금의 9%극심한 빈곤과 만성적인 기아로 고통받는 지역에서 식량 안정 사업을 지속적으로 지원하고 있으며, 2024년도에는 아프리카의 우간다와 중남미의 에콰도르에서 농업 개발 및 생계 지원 활동을 통해 식량 안보를 증진하기 위한 사업 등 총 3개의 식량 안정 사업을 추진하였다. (4) 지역 사회 개발 사업: 총 4개 사업에 1억 5,152만 400원(미화 11만 2,000달러) 지원,2024년 개발협력 지원금의 6%지역사회의 역량을 강화하고 주민들의 자립을 지원하고자 우간다, 키르기스스탄, 에콰도르에서 통합적인 지역사회 개발 사업을 지원함. (5) 의료 보건 사업: 총 3개 사업에 1억 2,930만 1,912원(미화 9만 674달러) 지원, 2024년 개발협력 지원금의 6%전쟁으로 의료 체계가 붕괴된 중동의 팔레스타인과 이라크에서 의료 보건 사업을 추진함. 팔레스타인 가자지구의 이동 진료소 지원 사업, 취약계층 모자 보건 사업, 이라크의 전쟁 피해자 및 환자 지원 사업 등 총 3개의 의료 보건 사업을 지원하였다.<받는 교회에서 나누는 교회로>1993년 한국 천주교회 공식 해외 원조 시작2025년 해외원조주일, 받는 교회에서 나누는 교회로의 50년(사진제공=한국카리타스인터내셔널)※ 한국카리타스인터내셔널 문의: 02-2279-9204, https://caritas.or.kr▲ 2025년도 해외원조주일
- 제28회 가톨릭 미술상 수상자 발표
- 주교회의 사형제도폐지소위원회의 대한민국 마지막 사형 집행 27년 관련 공동 성명서
-
수원교구장 이용훈 주교, ‘2027 서울 세계청년대회 수원교구대회’ 준비 여정을 시작하며 ‘특별 서한’ 발표
천주교 수원교구 교구장 이용훈(마티아) 주교가 “수원교구는 서울대교구와 인접한 교구이면서 전국에서 규모가 가장 큰 교구로서, 책임감을 가지고 ‘2027 서울 세계청년대회 수원교구대회’를 준비하고자 한다.”며, “본격적인 항해가 시작됐다.”고 알렸다.이용훈 주교는 수원교구민과 교구 관할 지역에 거주하는 시민들에게 보내는 “‘2027 서울 세계청년대회 수원교구대회’ 준비 여정을 시작하는 교구장 특별 서한”에서 이처럼 말하고, “‘2027 서울 세계청년대회(WYD)’는 프란치스코 교황이 한국 교회에 맡긴 공동체적 과업이자 성령께서 우리 교회를 통해서 이루시고자 하는 쇄신의 과업”이라고 강조했다.“영혼의 젊음을 회복하는 희망의 여정”이라는 부제의 특별 서한에서 이용훈 주교는 ‘WYD를 준비하는 시간 자체를 공동체적 여정으로 받아들일 때, 그 여정 안에서 성령의 선물을 발견하게 될 것이며, 우리가 영적으로 더욱 젊어질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또, WYD 여정이 더욱 풍요로운 시간이 되기 위해서는 ‘젊은이들의 역할과 능력을 믿고 지지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말한 이용훈 주교는 준비 과정에서부터 젊은이들의 목소리를 경청하여 그들의 의견이 ‘WYD 여정’에 깊이 스며들 수 있게 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2027 서울 WYD 수원교구대회’ 실무 조직위원회에 대해서는 ‘교구 젊은 사제들과 수도자, 교회 안팎의 젊은이를 포함한 광범위한 실무진으로 구성해 활동에 들어갔다.’고 밝혔다.이용훈 주교는 ‘수원교구대회 조직위원회’에서는 ‘본대회를 주관하는 서울대교구를 비롯하여 전국 교구와 관련 지자체와 소통하며 기초적인 준비를 하고 있다.’면서, “WYD가 그리스도인과 비그리스도인이 함께 하는 대한민국 젊은이들의 큰 축제가 되도록 힘쓰고 있다.”라고 했다.또한, 조직위원회는 젊은이들이 “교회 안에서 어엿한 ‘희망의 순례자’, ‘복음 선포자’, ‘사랑의 선교사’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양성을 목적으로 기초 작업을 하고 있다.”고 덧붙였다.이용훈 주교는 “‘2027년 서울 세계청년대회’를 위한 본격적인 항해가 시작됐다.”라고 강조했다. 프란치스코 교황이 전해준 ‘WYD 십자가와 성모 성화’가 2024년 12월 17일부터 28일까지 수원교구 내 본당과 복지시설, 학교, 기관을 순례했으며, 오는 ‘2025년 주님 부활 대축일’을 기점으로 수원교구민이 참여하는 다양한 영성운동이 진행될 것이라면서 ‘젊은이들을 응원하는 마음으로 영성운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해 주길’ 당부했다.마지막으로, 이용훈 주교는 “한국 교회에서 개최하는 ‘2027 서울 세계청년대회’는 우리 교회가 새로운 미래를 준비하고 도약할 새로운 기회”라며, “영적 젊음으로 약동하는 교회, 청년 예수님의 활력이 넘치는 교회, 두려움 없이 교회 울타리 너머 세상과 소통하는 교회, 위대한 신앙의 유산을 두고 함께 경탄하는 교회를 만들어 갈 젊은이들에게 힘과 용기를 줄 수 있도록 모든 교구민이 마음을 모아 협력해 주시길 바란다.”는 말로 서한을 끝맺었다.‘특별 서한’은 2025년 1월 1일(천주의 성모 마리아 대축일) 자로 발표됐다.아래는 ‘2027 서울 WYD 수원교구대회 준비 여정을 시작하는 교구장 특별 서한’ 전문이다.------------------------------2027 서울 WYD 수원교구대회 준비 여정을 시작하는 수원교구장 특별 서한“영혼의 젊음을 회복하는 희망의 여정”† 경청과 식별로 동행하는 수원교구! 그리스도 안에서 일치!‘2027 서울 세계청년대회(WYD; World Youth Day) 수원교구대회’ 준비를 시작하며, 교구민 여러분과 교구 관할 지역에 거주하는 모든 시민에게 그리스도의 평화가 가득하길 기도합니다. 프란치스코 교황님께서는 2023년 8월 6일 포르투갈 리스본에서 열린 세계청년대회(WYD)에서 2027년 세계청년대회 개최지로 ‘대한민국 서울’을 지명하셨습니다. WYD는 전 세계 그리스도인 젊은이들이 한데 모여 친교를 나누는 시간으로, 교황님께서 직접 참여하시는 국제적인 규모의 행사입니다. 본대회와 교구대회로 구성된 WYD는 ‘2027 WYD’ 개최지로 지명된 서울대교구에서 일주일가량 본대회가 이뤄지는데, 그에 앞서 서울대교구를 제외한 다른 교구에서 약 5일 동안 교구대회가 진행됩니다. 이에 수원교구는 서울대교구와 인접한 교구이면서 전국에서 규모가 가장 큰 교구로서, 책임감을 가지고 ‘2027 서울 WYD 수원교구대회’를 준비하고자 합니다. 성령께서 우리에게 주신 쇄신의 과업이자 기회“영원한 젊음이신 예수님께서 우리에게 영원히 젊은 마음을 주고자 하십니다”(「그리스도는 살아계십니다」13항). 프란치스코 교황님께서는 “젊음이란 나이라기보다는 마음의 상태”이기에, “교회는 언제나 영적 젊음을 잃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고 강조하셨습니다. ‘2027 서울 WYD’는 교황님께서 한국 교회에 맡기신 공동체적 과업이자 성령께서 우리 교회를 통해서 이루시고자 하는 쇄신의 과업입니다. 따라서 수원교구는 WYD를 영적 젊음을 가꿔야 하는 우리 모두에게 주어진 공동체적 과업이자, 우리 자신의 영적 젊음을 쇄신하는 기회의 시간으로 받아들이고자 합니다. 결과물을 위한 ‘일의 시간’이 아닌 ‘변화의 여정’으로써‘2027 서울 WYD’를 준비하는 여정 중에 있는 우리 교회는 이 시간을 공동체적 ‘여정’으로 받아들여야 합니다. 여정은 길을 걷는 시간 그 자체에 중요한 의미가 있습니다. 만일 우리가 ‘훌륭한 행사’와 그 결과, 곧 목적지에만 집착한다면, 성령께서 이 여정 안에 예비하신 선물들을 놓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우리가 WYD를 준비하는 시간 자체를 성령께서 우리에게 주신 하나의 여정으로 받아들인다면, 교구민이 마음을 모아 함께 만들어가는 이 시간 안에서 성령의 선물을 발견하게 될 것입니다. 공동의 과업을 수행하며 함께 걷는 시간 안에서 서로의 소중함을 실감하고, 의미를 발견하며, 성장과 변화를 체험하게 될 것입니다. 바로 그 시간을 통해 우리가 영적으로 더욱 젊어질 수 있을 것입니다. WYD 여정이 우리를 새롭게 하시는 하느님의 은총을 체험하는 시간이 되길 바랍니다. 젊은이들이 ‘교회의 현재’가 되도록 하는 시간으로써 WYD 여정이 더욱 풍요로운 시간이 되기 위해서 우리가 배려해야 할 가장 중요한 것은 젊은이들의 역할과 능력을 믿고 지지하는 것입니다. 준비 과정 안에서부터 젊은이들의 목소리를 경청하여, 그들의 의견이 WYD 여정에 깊이 스며들 수 있게 해야 합니다. 젊은이들은 우리가 이미 차려 놓은 거한 잔칫상의 손님이어야만 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그들 스스로 잔칫상을 마련할 수 있고 세계의 젊은이들을 손님으로 환대할 수 있는 주인공들이기 때문입니다. 교회는 우리 젊은이들을 믿고 있습니다.그러므로 이 여정은 그동안 우리 교회가 젊은이들을 “교회의 미래”라고 부르면서도, 정작 오늘날 젊은이들의 삶을 이해하지 못하여, 그들이 “교회의 현재”가 되지 못하게 한 면은 없었는지 성찰하는 기회 또한 될 것입니다. 영적 젊음을 구현하는 ‘2027 서울 WYD 수원교구대회’ 실무 조직위원회 구성과 활동이에 수원교구는 이번 ‘2027 서울 WYD 수원교구대회’ 준비 여정에서, 교구의 젊은이들, 곧 젊은 사제들과 수도자, 교회 안과 밖의 젊은이들까지 포함한 광범위한 실무진들로 구성된 조직위원회를 구성하여 활동에 들어갔습니다. ‘수원교구대회 조직위원회’는 본대회를 주관하는 서울대교구를 비롯하여 전국 교구와 소통하며 ‘2027 서울 WYD’의 전반적인 방향성을 협의하고, 관련 지자체들과 소통하면서 기초적인 준비를 하고 있습니다. ‘수원교구대회 조직위원회’는 우리 젊은이들이 앞으로도 계속 교회 안에서 어엿한 ‘희망의 순례자’, ‘복음 선포자’, ‘사랑의 선교사’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양성을 목적으로 기초 작업을 하고 있습니다. 또한, 우리 젊은 그리스도인들은 새롭고 다양한 방법으로 교회 밖 젊은이들과도 소통하면서, WYD가 그리스도인과 비그리스도인이 함께 하는 대한민국 젊은이들의 큰 축제가 되도록 힘쓰고 있습니다. WYD 여정에서 ‘수원교구대회 조직위원회’는 다양한 분야에서 전문가들의 도움을 받으며 교회의 젊은이들이 더욱 성장할 수 있도록 힘을 보탤 것입니다. ‘2027 서울 WYD 수원교구대회’ 영성운동보편교회의 큰 축제인 WYD 준비를 위한 영성운동은 이미 시작이 되었습니다. 작년 11월 24일 ‘온 누리의 임금이신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왕 대축일’ 바티칸 성 베드로 대성전에서 프란치스코 교황님께서는 ‘2027년 서울 WYD’를 준비하는 한국 교회 젊은이들에게 3년간 전 세계를 순례하며 젊은이들에게 희망을 안겨줄 ‘WYD 십자가와 성모 성화’를 전해주셨습니다. 이 ‘WYD 상징물’은 서울대교구를 시작으로 수원교구에서도 작년 12월 17일부터 28일까지 여러 본당과 복지시설 및 학교 기관을 순례하며 젊은이들에게 큰 감동을 선사하였습니다. ‘WYD 상징’은 이제 2027년 상반기까지 전 세계를 순회하며 세계 젊은이들에게 희망과 기쁨을 주고, 2027년 다시 대한민국으로 돌아와 WYD 본대회의 제단 위에 성대하게 자리하게 될 것입니다.‘수원교구대회 조직위원회’에서는 이와 연계하여 오는 ‘2025년 주님 부활 대축일’을 기점으로, 교구민이 참여하는 다양한 영성운동을 제안할 것입니다. 이 영성운동은 본당을 비롯해 다양한 계층의 교구민이 실천할 수 있는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젊은이들을 응원하는 마음으로 이 영성운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해 주시길 당부드립니다.사랑하는 형제자매 여러분!‘WYD’는 전 세계 젊은이들, 곧 젊은이들이 교황님과 함께 예수 그리스도의 사랑을 체험하고 신앙의 기쁨을 함께 나누는 국제적인 축제입니다. 이 축제에서 젊은이들은 삶의 새로운 희망을 발견하게 됩니다. 한국 교회에서 개최하는 ‘2027 서울 세계청년대회’는 우리 교회가 새로운 미래를 준비하고 도약할 새로운 기회입니다.영적 젊음으로 약동하는 교회, 청년 예수님의 활력이 넘치는 교회, 두려움 없이 교회 울타리 너머 세상과 소통하는 교회, 위대한 신앙의 유산을 두고 함께 경탄하는 교회를 만들어 갈 젊은이들에게 힘과 용기를 줄 수 있도록 모든 교구민이 마음을 모아 협력해 주시길 바랍니다.평화의 모후이시며 우리의 보호자이신 성모님! 수원교구의 젊은이들을 도와주소서.2025년 1월 1일천주의 성모 마리아 대축일에수원교구장 이 용 훈 (마티아) 주교
- 이성효 주교, 마산교구 교구장에 임명
- 제6대 마산교구장에 이성효 주교 임명
-
행사 2025 생태영성학교
-
채용 광교2동 사무장 채용채용시
- 채용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