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1.02.07
- 2021.11.20
- 2020.01.03
-
모집 영화 '언플랜드'행사 취소
- 11.28 ~ 12.06
-
교황청, 올해 재의 수요일 예식 간소화
[앵커] 교황청이 다음달 17일 거행되는 ‘재의 수요일 예식’에 대한 세부 지침을 공지했는데요.코로나19 대유행에 따라 예식을 간소화하는 내용입니다.어떻게 거행되는지 서종빈 기자가 소개합니다.[기자] 올해 사순 시기는 오는 2월17일 재의 수요일부터 시작됩니다.재의 수요일 미사에서 사제들은 참회의 상징으로 재를 축복하고 이를 신자들의 머리나 이마에 얹는 예식을 거행합니다.예식에 사용하는 재는 지난해 주님 수난 성지 주일에 축복했던 나뭇가지를 불에 태워 만듭니다.재를 얹으면서 사제는 “회개하고 복음을 믿어라” 또는 “사람아, 너는 먼지이니, 먼지로 돌아갈 것을 생각하여라”라고 권고합니다.이는 성경 창세기 말씀인 “사람은 흙에서 왔고 다시 흙으로 돌아간다”(창세 3,19 참조)는 가르침을 되새기기 위해섭니다.하지만 올해는 코로나 예방 지침을 준수하기 위해 각 신자들의 머리에 재를 얹기 전에 전체 신자들을 향해 ‘한 번만’ 말하면 됩니다.감염병 예방 차원에서 신자 개개인에게 공지하지 말고 전체 공지로 한번만 하라는 것입니다.교황청 경신성사성은 이같은 내용의 재의 수요일 예식 간소화 지침을 누리집에 공지했습니다.따라서 올해는 각 신자들의 머리에 재를 얹을 때 주례 사제는 아무 말도 하지 않습니다.아울러 사제가 신자들이 서 있는 곳으로 가서 신자 한 사람 한 사람의 머리 위에 말없이 재를 얹을 수도 있습니다.경신성사성은 또 접촉을 최소화하는 차원에서 이마보다는 머리에 재를 얹을 것을 권장했습니다.또 사제는 사전에 손을 깨끗이 씻고, 마스크를 착용한 상태에서 예식을 거행하라고 당부했습니다.한편 프란치스코 교황은 성 바오로 사도의 회심 축일인 오는 25일까지 계속되는 ‘그리스도인 일치기도 주간’을 맞아 모든 그리스도인들이 하나가 될 것을 촉구했습니다.<프란치스코 교황 / 17일 주일 삼종기도>"하나 되게 하소서" 라는 예수님의 소원이 이 시대에 이루어지도록 함께 기도합시다. 일치는 언제나 갈등보다 높은 가치를 지닙니다.올해 그리스도인 일치기도 주간의 주제는“너희는 내 사랑 안에 머물러라. 그러면 많은 열매를 맺을 것이다”입니다.일치기도 주간은 오는 25일 로마 성 바오로 대성전에서 다른 교회와 그리스도교 공동체 대표들이 함께 저녁 기도를 거행하며 막을 내립니다.CPBC 서종빈입니다.출처 : 가톨릭평화방송cpbc 서종빈 기자 binseo@cpbc.co.kr
- 낙태죄 대체 입법 장기 공백 우려
- 성 김대건 신부 라디오 드라마 나온다
- 운세, 그저 재미로 볼 뿐이라고요?
- 양기석 신부 “화석연료 없이 한번 살아보겠습니다”
-
군복음화와 교구에 헌신했던 사제, 주님 품에 잠들다
군복음화와 교구에 헌신했던 사제, 주님 품에 잠들다수원교구 이영배(안토니오) 신부 장례미사 천주교 수원교구 故 이영배(안토니오·1983년 7월 25일 수품) 신부가 지병으로 1월 19일 선종했다. 향년 67세. 이영배 신부의 장례미사는 코로나19로 인한 사회적거리두기 방침에 따라 교구 사제단과 유가족만이 참석한 가운데, 1월 21일(목) 오전 10시 정자동 주교좌성당에서 봉헌됐다. 장례미사를 주례한 교구장 이용훈(마티아) 주교는 “이 신부는 누구에게나 친절하고 어울리기를 좋아했으며, 공동체 정신과 형제애가 남달랐고 맡은 소임에 최선을 다했다.”고 이영배 신부를 회고했다. 그리고 “생애 가장 젊은 시절을 군사목에 투신하며 군종 사목 발전을 위해 헌신하고, 교구 사무처장으로 재임하면서는 교구 설정 50주년 행사를 훌륭히 치러내시는 등 교회를 위해 온 생애를 바친 이영배 신부의 영전에 깊은 감사를 드린다.”고 말했다. 유가족들이 도열한 가운데, 고별식이 총대리 이성효(리노) 주교 주례로 거행됐다. 고별식에서 동창 대표로 고별사를 한 방상만(베드로) 신부는 “사제는 어디로 떠나라는 명령을 받으면 홀연히 단출하게 떠나는 것이 일상의 삶이라는 것을 친구가 보여줬다.”며 “항상 죽음을 생각하면서 삶을 충실히 살아야 한다는 깨달음을 줘서 감사하다.”라고 이영배 신부에게 마지막 인사를 했다. 장례미사가 끝난 뒤 운구행렬은 수원교구 성직자 묘역인 안성추모공원으로 향했다. 성직자 묘역에서 이용훈 주교의 주례로 ‘무덤 축복식 및 하관 예식’이 거행된 후, 이영배 신부는 그가 그토록 사랑하던 주님의 품에 영면했다. 1983년 7월 25일 사제로 수품된 이영배 신부는 ‘본당, 군(軍), 교구청’ 등 여러 사목분야에서 활동했다. 왕림, 용문, 남양 본당에서는 평신도 복음화를 위해 사목했으며, 군복음화를 위해 20여 년을 군종장교로서 사목했다. 또한 교구 총대리와 사무처장으로서 6년간 교구의 행정을 책임지기도 했다. 이후 2013년부터는 건강상 이유로 휴양에 들어갔다. 특히, 이영배 신부는 사제 생활 중 20년을 군복음화를 위해 헌신했다. 1987년 2월 공군사관학교 군종신부로 군종교구와 인연을 맺은 후, 2007년 3월 공군본부 군종실 군종기획과장을 끝으로 예편하기까지 공군에서 군종장교(대령)로 사목했다. 한편, 이영배 신부의 장례와 관련한 모든 예식은 코로나19 관계로 교구 사제단과 유가족, 교구 사제 장의위원회 위원들만 참석한 가운데 치러졌다. 교구에서는 신자들을 위해 유튜브 채널 ‘천주교수원교구’를 통해 장례미사를 생중계했다.수원교구 홍보국
- 보정본당 폐휴대폰 판매 수익금으로 지역 어려운 이웃 돕기 나서
- 아름채노인복지관 아름채봉사단, 마스크 끈 제작·기부
- 수원교구 비대면 피정과 특강 활발
- 조원솔대본당 특별한 나눔 ‘눈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