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사능 검사 시스템·정보 상시 공개 필수
주일학교 간식 등 오염된 식재료 사용 주의
▲ 양기석 신부는 “어린 청소년들을 위해 방사성 물질에 오염된 식재료를 걸러내 주는 기구·정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지금처럼 느슨한 기준치를 두는 것보다 예산과 인력 확충을 통한 방사능 검사와 정보 공개로 직접 당사자들이 안전한 먹을거리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지난 14일, 경기도·경기도 교육청과 시민사회 학부모 단체 등이 함께하는 ‘방사능 안전급식을 위한 조례 개선 공청회’에 참여한 교구 환경위원회 위원장 양기석 신부(수원대리구 사회복음화국장)는 실질적인 수준과 인력을 갖춘 검사 시스템을 구성하고 이에 따른 정보를 상시 공개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정보 공개는 방사성 물질에 오염된 먹을거리가 우리 아이들의 식탁에 올라오지 못하도록 하는 단서가 된다는 것. 조례의 개선 방향도 이러한 쪽으로 이뤄지길 바란다.
“많은 의사, 전문가들의 역학 조사를 통해 추정한 결과, 체르노빌 핵발전소 사고 이후, 한참 뒤에야 태어난 어린 자녀들에게서 원인을 알 수 없는 희귀병과 같은 질병들이 일어난 이유는 부모 세대가 방사성 물질에 오염된 식재료를 먹었기 때문이라는 결론을 얻었다고 합니다. 그만큼 우리에게 식재료가 얼마나 중요한지를 일깨워주지요. 특히, 어른보다 방사능에 취약한 어린 청소년들을 위해 방사성 물질에 오염된 식재료를 걸러내 주는 기구 혹은 정책이 필요합니다.”
공청회를 참관한 일반 시민들과 학부모들은 방사성 물질에 오염된 식재료 문제는 비단 학교 급식만의 문제가 아니라는 점에 의견을 모았다. 이는 신자 학부모로부터 시작하는 관심과 실천이 시급한 이유이기도 하다.
“이 문제는 우리 아이들의 학교에 들어가는 식재료와 관련된 문제이니, 좀 더 관심을 갖고, 어떤 식재료를 쓰는지 꼼꼼히 따져보려는 움직임이 있었으면 합니다. 교회 안에서도 소공동체 모임 등에서 이에 관해 뜻을 모으다 보면 변화의 실마리를 찾을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또한 이번 계기를 통해 주일학교 간식거리에도 방사성 물질에 오염됐을 것으로 의심되는 식재료들을 사용하지 않도록 주의하려는 의식이 활성화되길 바랍니다.”
지금 당장 할 수 있는 일은 조례 개선안이 통과되기까지 공청회를 통해 이러한 의견들을 도의회로 전달하는 것. 오는 2월 결과를 앞두고 있다.
“만약 지금의 개선안이 통과되지 못한다면, 주민발의와 같은 방법을 찾아볼까 합니다. 주민 발의가 자연스레 탈핵을 위한 운동으로 이어질 수도 있겠지요. 시간이 좀 걸리더라도 우리 아이들을 위해 필요한 일이니, 지역 내에서만이라도 꼭 이룰 수 있도록 노력하고자 합니다.”
이우현 기자 (helena@catimes.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