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원주보

수원주보

Home

게시판 > 보기

오늘의 묵상

6월 2일 _ 조명연 토마스 신부

작성자 : 관리자 작성일 : 2020-06-02 조회수 : 309

좋은 삶을 사는 사람은 어떤 사람일까요? 이때 사람들은 ‘행복’을 떠올립니다. 행복한 사람이 좋은 삶을 사는 사람이라는 것입니다. 그런데 과연 ‘행복’을 찾아 나서고 있는 우리인지를 생각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 오히려 행복보다는 성공을 쫓고 있지 않습니까?

사실 행복은 먼 곳에 있지 않습니다. 사소한 일상 안에서 의미를 찾는 사람이 바로 행복한 사람입니다. 그러나 돈과 물질, 지위와 명예 등 세상의 성공 기준을 행복의 기준으로 삼다 보면 자신은 행복하지 않다고 말합니다. 이들은 행복이 아니라 성공만을 쫓고 있는 것입니다.

편안한 쉼의 시간을 가지면서 불안해하는 사람이 있습니다. ‘열심히 일하지 않는다’라는 생각에, 남에게 뒤처지지 않을까, 시간 낭비를 하는 것이 아닐까 하는 불안입니다. 이 역시 행복이 아닌 세상에서 바라보는 성공을 쫓는 것입니다.

행복을 찾아서 나의 것으로 만들어야 합니다. 이를 위해 매 순간 의미를 찾을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합니다. 세상의 기준이 아닌 주님의 기준으로, 부정적 의미가 아니라 긍정적인 의미를 찾을 수 있어야 합니다. 분명히 좋은 삶을 사는 사람이 될 수 있습니다.

오늘 복음에서 겉으로는 존경하는 체하면서도 음모를 꾸미고 있는 유다인들의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바리사이들과 헤로데 당원 몇 사람은 황제에게 세금 내는 문제를 질문하지요. 황제에게 세금을 내지 말라고 하면 황제의 반역자라는 소리를 들을 테고, 내라고 하면 매국노라고 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때 예수님께서는 아주 유명한 말씀을 하십니다.

“황제의 것은 황제에게 돌려주고, 하느님의 것은 하느님께 돌려 드려라.”

데나리온 한 닢에는 황제의 초상이 그려져 있지만, 우리 인간의 몸 안에는 하느님의 초상이 새겨져 있습니다. 이 초상을 찾아 주시기 위해 주님께서 이 땅에 오셨으니, 우리는 우리 자신을 하느님께 돌려 드려야 한다는 것입니다.

각자의 양심과 영혼을 세상의 것들로부터 지켜내어서 자유로운 마음으로 하느님께 분명히 돌려 드려야 합니다. 그러나 여전히 세상의 것만을 바라보면서 내 안에 새겨진 하느님의 모상을 발견하지 못하는 것이 아닐까요? 그래서 행복이 아닌 성공만을 쫓으면서 스스로 불행하다고 말합니다.

독서에서 베드로 사도는 “티 없고 흠 없는 사람으로 평화로이 그분 앞에 나설 수 있도록 애쓰십시오.”(2베드 3,14)라고 말씀하십니다. 이런 노력을 통해 우리 안에 새겨진 하느님의 초상을 찾을 수 있습니다. 그리고 하느님 안에서 참 행복의 길을 걸어갈 것입니다.

신고사유를 간단히 작성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