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원주보

수원주보

Home

게시판 > 보기

오늘의 묵상

6월 5일 _ 이병우 루카 신부

작성자 : 관리자 작성일 : 2020-06-05 조회수 : 320

<성 보니파시오 주교 순교자 기념일>


"어찌하여 율법 학자들은 메시아가 다윗의 자손이라고 말하느냐?"(마르12,35)


'다윗의 자손이시며 주님이신 예수 그리스도!'


오늘 복음은 짧은 복음(마르12,35-37)이지만, 인성(人性)과 신성(神性)을 두루 지니신 주님이신 예수 그리스도에 대한 말씀입니다.


유다인들은 로마의 식민 억압으로부터 자신들을 구원해 줄 강한 메시아를 기다리고 있었습니다. 그리고 그런 메시아의 기준도 정해 놓았는데, 다윗의 후손이어야 하고, 다윗의 고향인 베들레헴에서 태어나야 한다는 것이었습니다.


예수님은 그들 기준에 맞게 다윗의 후손이셨고, 유다 베들레헴에서 탄생하셨습니다.

하지만 그들은 예수님을 메시아로 받아들이지 않았습니다. 그 이유는 그들이 예수님의 인성 안에만 갇혀있었고, 예수님의 신성을 바라보지 못했기 때문입니다. 더 분명하게 표현하자면 메시아로 오신 예수님이 그들 마음에 들지 않았기 때문이지요. 그래서 그들은 그런 예수님을 십자가에 못 박은 것입니다.


신성과 인성을 두루 갖추신 예수님!

다윗의 자손이시며, 다윗의 주님이신 예수님!


우리가 믿고 있는 예수님의 모습입니다.

예수님께서는 이천 여년 전에 유다 땅 베들레헴에서 마리아의 태를 통해 태어나신 분이시지만, 지금 우리와 함께 계시면서 우리를 죽음으로부터 구하시는 임마누엘이신 주님이십니다.


"내가 어떠한 박해를 견디어 냈던가! 주님께서는 그 모든 것에서 나를 구해 주셨습니다."(2티모3,11)


사도 바오로는 오늘 독서에서 사랑하는 제자 티모테오에게 그리스도 안에서 경건하게 살려는 이들은 모두 박해를 받을 것이라고 말합니다. 하지만 신성을 지니신 주님이신 예수 그리스도께서 그 박해로부터 구해 주실 것이라는 희망도 함께 전합니다. 


우리의 몸과 마음이 항상 좋은 나날이지를 못합니다. 때로는 고통과 시련과 같은 박해의 상황에 직면하기도 합니다. 그럴 때마다 그런 우리를 구하시러 오신 신성을 지니신 예수 그리스도께로 다가가도록 합시다!


마산교구 이병우 루카 신부

신고사유를 간단히 작성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