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원주보

수원주보

Home

게시판 > 보기

오늘의 묵상

8월 13일 _ 조명연 마태오 신부

작성자 : 운영자 작성일 : 2020-08-13 조회수 : 376

어느 수도원에 밥을 하루에 한 그릇만 먹는 수도자가 있었습니다. 한편 그와 달리 늘 두 그릇을 먹는 수도자도 있었지요. 이 수도원에서는 절제를 가장 큰 덕목으로 여겼기에, ‘두 그릇 수도자’는 동료 수도자들에게 비난을 자주 받을 수밖에 없었습니다.

세월이 흘러 ‘두 그릇 수도자’가 먼저 주님 곁으로 갔고, 그로부터 몇 년 뒤에 ‘한 그릇 수도자’도 하늘 나라에 가게 되었습니다. 그런데 하늘 나라에서 ‘한 그릇 수도자’가 보니 ‘두 그릇 수도자’가 하늘 나라에서 큰 대접을 받는 것입니다. 그에 반해 자신에게는 별다른 상도 주어지지 않았습니다. 마음이 불편해진 그는 하느님께 따져 물었습니다.

“하느님! 저 수도자는 세상에 살 때 절제하지 못해서 밥을 늘 두 그릇씩 먹었는데, 왜 한 그릇만 먹은 저보다 더 큰 상을 받습니까? 불공평합니다.”

그러자 하느님께서 이렇게 말씀하셨다고 합니다.

“얘야! 저 수도자는 본래 밥 세 그릇이 정량이었다. 그런데도 두 그릇만 먹느라고 무척이나 참고 절제했다. 하지만 너는 너의 정량인 한 그릇을 빠지지 않고 먹지 않았느냐?”

누가 더 절제의 생활을 했을까요? 이처럼 나의 기준이 그리 정확하지 않다는 것이 분명합니다. 함부로 판단했다가는 오류의 틀에서 벗어날 수가 없게 됩니다.

베드로가 몇 번이나 용서해야 하느냐는 질문에, 예수님께서는 일흔일곱 번까지라도 용서해야 한다고 말씀하십니다. 일흔일곱이라는 수는 모든 세대의 모든 죄가 용서되었음을 상징하는 것입니다. 그리고 용서를 이처럼 여러 번 하라는 것은 용서하지 못하게 하는 분노할 시간을 만들지 말라는 것을 의미하기도 합니다. 딴 생각하지 못하게 계속해서 용서하는 것이 하느님 아버지의 뜻이라는 것입니다.

주님께서는 매정한 종의 비유를 말씀하십니다. 주인이 돈을 갚을 방법을 지시합니다. 이는 종이 얼마나 큰 빚을 탕감받은 것인지를 정확하게 알게 하려는 것이었습니다. 그러면 앞으로 그도 동료 종들에게 더 자비롭게 행동할 터이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그런 큰 용서를 받고서도 사람이 달라지지 않은 그 종은 자기 동료 종의 멱살을 잡습니다.

이렇게 잘못된 행동을 하는 이유가 무엇일까요? 함부로 판단하는 오류 속에 있기 때문입니다. 자기가 용서받는 것은 당연하다고 생각하고, 남에 대한 자기의 용서는 합당할 때에야 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주님께서는 무조건 용서부터 하라고 하시는데 말입니다.

내가 원하는 것이 아니라, 하느님께서 원하시는 것을 해야 합니다. 용서는 하느님께서 간절하게 우리에게 원하시는 것입니다.

신고사유를 간단히 작성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