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원주보

수원주보

Home

게시판 > 보기

오늘의 묵상

5월 1일 _ 조명연 마태오 신부

작성자 : 관리자 작성일 : 2021-05-01 조회수 : 2714

글 쓸 일이 있으면, 특히 많은 양의 글을 써야 할 때면 지금 있는 자리에서 벗어나서 따로 외딴곳을 찾습니다. 그곳은 피정의 집이 될 때도 있고, 호텔이나 펜션일 때도 있습니다. 

두 달 전이었을 것입니다. 이때도 3일 동안 글만 쓸 생각으로 호텔에 들어갔습니다. 다행히 글이 잘 써져서 이틀 만에 원하는 글을 모두 쓸 수가 있었습니다. 이제는 자유의 시간을 누리면 되었습니다. 오랜만에 낮잠도 자고, 그동안 못 보았던 책도 읽으면서 자유를 누렸습니다. 그런데 갑자기 성지가 궁금해지는 것입니다. 제가 없다고 해서 문제가 생기는 것도 아닌데 이것저것 궁금해지고 걱정이 됩니다. 오랜만에 누리는 자유의 시간이었지만, 이 자유를 누리기가 힘들었습니다. 

결국 자유를 포기하고 성지로 돌아갔습니다. 당연히 아무런 문제가 없었습니다. 자유가 있으면 좋으리라 생각했는데, 이렇게 소속감 안에 갇혀 있는 것이 더 좋을 수도 있음을 깨닫습니다. 그래서 자유를 누릴 시간인데도 그 자유를 과감하게 벗어던지고 성지로 돌아간 것이지요. 

우리는 보통 자유는 좋고, 구속은 나쁜 것으로 생각합니다. 그런데 인간에게는 이 두 가지 모두 필요한 것이 아닐까요? 어느 정도의 자유와 구속이 균형을 이루며 함께 해야 행복하게 살 수 있는 것이었습니다. 

주님께도 마찬가지라고 생각합니다. 사실 신앙 생활하는 것을 자신의 자유를 구속되는 것으로 생각하는 사람을 종종 봅니다. 그래서 자유롭게 살고 싶다고 이야기합니다. 그런데 주님을 벗어나 자유롭게 산다고 해서 반드시 행복할까요? 아닙니다. 주님께 구속된 편안함 속에서 진정한 자유의 삶을 살 수 있습니다. 

그래서 주님께서는 하느님 아버지를 뵙게 해 달라는 필립보를 향해 당신께 대한 믿음을 굳건히 해야 할 것을 명하십니다. 왜냐하면 주님이 하느님 아버지 안에 있고, 하느님 아버지께서 주님 안에 계시기 때문이었습니다. 이렇게 두 분은 진정한 하나를 이루십니다. 이를 구속이라 생각하실까요? 아닙니다. 하나를 이루면서 더 큰 자유를 그리고 더 큰 일을 우리를 위해서 해 나가십니다. 

주님께서는 “너희가 내 이름으로 청하는 것은 무엇이든지 내가 다 이루어 주겠다.”라고 말씀하십니다. 자신에게 필요한 부분이 이루어지면 그 안에서 큰 기쁨을 누리게 됩니다. 그런데 자신이 한 것이 아니라 주님께서 해 주신 것을 자유가 없다고 거부하겠습니까? 주님께서는 우리의 자유를 억압하시지 않습니다. 오히려 자유를 더 누릴 수 있도록, 이 세상 안에서 더 자유롭게 잘 살 수 있게 하려고 당신 안에 머무르라고 하십니다. 그래도 주님께 대한 믿음을 버리시겠습니까?

신고사유를 간단히 작성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