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존감이 높아야 한다고 말합니다. 이를 위해 자기를 사랑해주는 것이 필요하다고 많은 전문가가 이야기합니다. 그러나 말로만 사랑한다고 사랑할 수 있을까요? 나 자신을 토닥이면서 “괜찮아. 잘 될 거야. 힘내!”라면 될까요? 사랑하는데 필요한 구체적 재료들을 제공하지 않으면 가냘픈 정신 승리에 그치고 말 것입니다. 그렇다고 뛰어난 무언가가 되어야 나를 인정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면, 이런 날은 절대로 오지 않습니다.
중요한 것은 작더라도 노력해서 성과를 내는 것이라고 합니다. 이 노력의 기억이 모이고 모여서 진정으로 나를 사랑하게 되고, 이것이 나의 자존감을 높이는 것입니다.
작은 성취는 어떤 것이 있을까요? 실제로 이 작은 성취는 얼마든지 있습니다. 기상벨에 맞춰서 벌떡 일어나기, 계획대로 하루 살기, 운동하기, 나의 발전을 위한 공부하기, 주님만을 바라보면서 기도와 묵상에 집중하기…. 이렇게 따지고 보면 삶 자체가 자기 성취의 터전이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이를 다시 말하면, 나를 사랑할 이유가 자기 주변에 너무 많다는 증거입니다.
자기 사랑은 분명히 가능합니다. 나의 자존감은 누구보다도 높아질 수 있습니다.
오늘은 ‘티 없이 깨끗하신 성모 성심 기념일’입니다. 성모님에 관련된 기념일이 참 많지요. 또 5월 성모의 달, 10월 로사리오 성월. 이렇게 1년 중에 두 달이나 성모님을 기억합니다. 이렇게 성모님께 높은 존경과 사랑을 드리는 이유가 무엇일까요? 단순히 예수님의 어머니이기 때문이 아닙니다. 단 하나만의 이유를 꼽을 수는 없지만, 그래도 어떤 경우에도 희망을 잃지 않고 하느님 아버지의 뜻을 따르려 하셨기 때문이 아닐까 싶습니다.
성모님의 삶은 인간적으로는 행복한 삶이 아니었습니다. 처녀의 몸으로 아기를 잉태하고, 예수님을 낳자마자 산후조리도 하지 못하고 이집트로 피신을 하러 가야 했습니다. 또한 오늘 복음에서와같이 고생해서 겨우 아들을 찾았지만, 아들로부터 ‘왜 자기를 찾느냐’는 무정한 말도 듣습니다. 시간이 지난 뒤 예수님이 공생활을 시작하자, 미쳤다는 소식도 듣게 되고요. 결국은 십자가에 못 박혀 돌아가시는 아들의 모습을 보셔야만 했습니다.
보통 사람이라면 그냥 절망 속에서 헤어나지 못할 것만 같은 상황입니다. 그러나 성모님은 희망을 잃지 않으셨습니다. 자신에 대한 자존감을 하느님 아버지께 대한 굳은 믿음으로 지킬 수 있었던 것입니다.
주님께 대한 굳은 믿음을 가지고, 일상 안에서 작은 성취를 이뤄나가야 하겠습니다. 성모님처럼 희망을 간직하면서 지금의 상황을 기쁨으로 바꿔야 합니다.
신고사유를 간단히 작성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