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수많은 실험실에서 망각을 촉진하기 위한 물질을 개발하고 있다고 합니다. 그런데 모든 기억을 깨끗하게 지우는 것이 아니라, 기억에서 지우고 싶은 내용이나 그 심상들만 지우는 것입니다. 실제로 지우고 싶은 기억이 있지 않습니까? 이 기억에서 벗어나지 못해 트라우마에 빠지는 사람도 참 많습니다.
이를 통해 충만하고 행복했던 기억만 남는다면 어떨까요? 모두가 행복한 기억 속에서 지금을 충실하게 살게 될까요? 저 역시 지우고 싶은 기억이 있었습니다. 이 기억을 떠올리면 지금도 얼굴이 화끈화끈합니다. 그러나 지워져서는 안 됩니다. 기억하고 있기에 그 잘못을 반복하지 않을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지금을 더 충실하게 살 수 있기 때문입니다.
어두움 역시 우리의 과거입니다. 어두운 시간을 통과하며 우리는 더 인간적으로 변하는 것입니다. 지우고 싶은 기억도 자기가 살았던 삶으로 받아들인다면 그 안에서 커다란 의미를 찾을 수 있을 것입니다.
성모님께 가브리엘 천사가 찾아와 예수님 잉태 소식을 알립니다. 이런 예를 들어 봅니다. 산간 벽촌에 사는 철부지 10대 소녀에게 도사가 찾아가서 “너는 앞으로 대통령을 낳을 것이다.”라고 했다면, 소녀는 어떤 반응을 보일까요? 믿을 수가 없을 것입니다. 10대이기에 결혼 자체가 너무나 먼일이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여기에 그 아기를 성령으로 말미암아 낳게 된다고 하면, “뻥 치지 마세요!”라고 화를 내지 않을까요?
성모님이 바로 이런 상황이었습니다. 대통령보다 더 큰 인물을 낳게 된다는 것입니다. 더군다나 남자를 알지 못하는 상태였습니다. 당시에 간음죄는 너무나 큰 죄였습니다. 공개적으로 돌에 맞아 죽는 벌을 받게 됩니다. 결혼도 하지 않았는데 아기를 갖게 되면 당연히 간음했다고 사람들이 생각하지 않겠습니까? 깜짝 놀랄만한 어마어마한 소식이었지만 분명 피하고 싶은 소식일 수밖에 없습니다. 세상에 좋은 일도 많은데 왜 이런 시련을 주시냐면서 불평할 수도 있는 상황이었습니다.
그러나 성모님은 우리의 반응과는 너무 달랐습니다. “보십시오. 저는 주님의 종입니다. 말씀하신 대로 저에게 이루어지기를 바랍니다.”(루카 1,37)라고 말씀하시면서 하느님의 뜻을 받아들입니다. 세상의 눈으로는 피하고 싶은 상황이지만, 하느님의 뜻이기에 피하지 않고 온몸으로 받아들이십니다.
우리에게도 피하고 싶은 상황이 계속 주어집니다. 지워야지만 행복할 것 같습니다. 하지만 그 상황도 하느님께서 주신 것이라면 기쁘게 받아들여야 합니다. 성모님처럼 말이지요.
신고사유를 간단히 작성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