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님 수난 성지주일
호산나! 주님의 이름으로 오시는 분!
[말씀]
■ 제1독서(이사 50,4-7)
바빌론 유배시기 동안 제2 이사야는 이스라엘 백성이 기다려온 메시아와는 전혀 다른 모습의 메시아를 소개한다. 예언자는 화려한 궁궐에 사는 권세의 임금과는 거리가 먼 종의 모습을 띠고 있는 메시아, “매질하는 자들에게 등을, 수염을 잡아 뜯는 자들에게 뺨을 턱을 내맡겼고, 모욕과 수모를 받지 않으려고 얼굴을 가리지도 않은 채” 오로지 하느님의 말씀에 귀 기울이며 세상의 온갖 악의 대가를 대신 짊어지기를 수락하는 희생양으로서의 메시아를 그리고 있다. 도대체 이분이 누구신가?
■ 제2독서(필리 2,6-11)
사도 바오로가 그리스도의 영광을 노래했던 초대 공동체의 찬미가 하나를 제2 독서에서 인용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라면, 이는 초대교회가 일찍부터 “예수 그리스도는 주님이시다.” 하는 기본적인 신앙 고백을 살았다는 증거가 된다. 곧 예수 그리스도는 주님으로서 하느님과 본질이 같으신 분이셨지만, 우리와 똑같은 인간이 되신 분이다. 그분의 모든 삶은 따라서 사랑의 선물로 인식되며, 그분의 부활은 이 사랑의 승리를 드러낸 사건으로 길이 머문다.
■ 복음(루카 22,14-23,56)
복음저자 루카는 다른 복음서에 비해 매우 상세한 그리스도의 수난 이야기를 전하면서, 그리스도는 밀려오는 증오심 앞에서도 끝까지 자비의 마음을 잃지 않으신 분임을 강조한다. 최후의 만찬 이야기는, 이미 종의 신분으로 제자들을 위해 온전히 봉사하시는 스승 그리스도와, “누가 가장 높은 사람이냐?” 하는 문제로 옥신각신하던 눈먼 제자들 사이의 대조를 그려준다. 이 대조는 또한 적대자들을 거슬러 싸우는 제자들과 대사제의 종의 귀를 치유해 주시는 스승의 행위 사이에서도 드러난다. 십자가의 길에서 그리스도는 당신을 저버린 백성의 불행을 걱정하시며, 십자가 위에서는 회개하는 강도를 용서해 주신다. 그러기에 로마군대의 이방인 백인대장이 외친 “정녕 이 사람은 의로운 분이셨다.” 하는 고백은 예수 그리스도의 신원과 사명을 가장 정확하고 간략하게 정리한 고백으로 길이 남는다.
[새김]
■ 예루살렘 입성, 이날은 스승과 제자 사이의 상호 몰이해가 극에 달했던 날이다. 제자들에게 이날은 오랫동안 기다려왔던 대로 성도(聖都) 예루살렘을 차지하여 스승과 함께 새로운 나라를 세울 수 있으리라 믿었던 날이었으나, 그리스도에게 이날은 전혀 다른 차원의 날이었다. 군중의 환호성 속에서 그분은 이미 이들이 당신을 저버리고 십자가형에 처하리라는 사실을 내다보신다. 제자들이 기대했던 바와 달리 인간이 아닌 하느님의 나라였기 때문이다.
■ 주님 수난 성지주일인 오늘 장엄한 의식에 경건하게 참여하면서, 이날의 진정한 의미를 밝혀 줄 주님의 수난과 십자가상 죽음을 미리 내다보기로 하자. 또한 주님의 고통을 묵상하고 진정한 회개로 그 고통에 동참하겠다는 다짐으로 이 한 주간을 가장 거룩하게 지내며 부활의 기쁨에 다가서도록 하자. 당신의 영을 아버지 손에 맡기신 십자가의 주님을 바라보며, 정녕 의로우신 분이시기에 죽음에서 부활하신 주님을 믿어 고백하는 신앙인의 모습을 보이자.
교우 여러분, 주님의 죽음과 부활에 함께하는 성주간 되시길 바랍니다.
신고사유를 간단히 작성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