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원주보

수원주보

Home

게시판 > 보기

오늘의 묵상

7월 24일 _ 조욱현 토마스 신부

작성자 : 홍보실 작성일 : 2022-07-24 조회수 : 1250

복음: 루카 11,1-13: 주님의 기도 
 
오늘의 주제는 기도의 본질적 의미에 관한 것이다. 주님을 올바로 맞아들일 수 있어야 기도도 잘 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참된 기도자는 하느님과 진실한 관계를 맺은 사람이다. 신앙의 선조인 아브라함은 소돔과 고모라를 멸망에서 구하기 위해 하느님 야훼와 벌이는 공방전을 감동적으로 서술하고 있다. 그러나 이 탄원은 부패할 대로 부패한 도시들을 구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만일에 그렇다면 그것은 하느님 앞에서 악을 편들어 변호하는 것과 같을 것이다. 반대로 아브라함은 소수에 지나지 않더라도 그 도시에 있을 수 있는 죄 없는 사람들의 선으로 그 악을 상쇄하여 균형을 이룰 수 있는 요소를 제시하고 있다. “그 열 명을 보아서라도 내가 파멸시키지 않겠다.”(창세 18,32) 하셨을 때, 아브라함은 더는 말씀드리지 못한다. 
 
그런데 예레미야 예언서에 보면 예루살렘을 구원하기 위해 죄 없는 사람 한 사람으로도 족하다고 한다(예레 5,1). 에제키엘 예언서에도 예루살렘의 구원을 위한 조건으로 죄 없는 사람 단 한 명을 요구하고 있다(에제 22,30). 만일에 아브라함이 죄 없는 사람 하나를 제시하였다고 해도 하느님은 허락하셨겠지만, 아브라함은 한 사람도 죄 없는 사람을 찾지 못하였을 것이다. 그 죄 없는 사람의 역할은 유일한 중재자이신 예수 그리스도의 몫이었기 때문이다. 
 
오늘 복음에서 루카는 기도에 대한 예수님의 몇 가지 가르침을 한데 모아놓고 있다. 루가복음은 기도에 대해 특별한 관심을 두고 있다. 그리고 예수님을 기도의 모델로 제시하고 있다. 그리고 자주 기도하시는 예수님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오늘 복음에서도 예수께서 기도하고 계신 것을 보고 어떤 제자가 기도를 가르쳐 달라고 하였다(1절). 이렇게 하여 주님의 기도의 파도를 일으켰다. 
 
이 주님의 기도는 하느님의 부성 아래 전개되고 있다는 것이다. 여기에 나오는 “아버지, 아버지의 이름을 거룩히 드러내시며, 아버지의 나라가 오게 하소서.”(2절) 라는 표현에서 아버지는 아빠라고 어린아이들이 아버지를 부를 때 사용하는 것과 같은 하느님께 드리는 가장 원초적인 표현이었기 때문에 제자들에게 아주 강한 인상을 주었을 것이다. 이것은 우리가 하느님께 대한 자녀로서의 태도뿐 아니라, 더 나아가 어린아이와 같은 태도 즉 완전히 신뢰하고, 의탁하고 순종하며 사랑하는 태도를 갖출 것을 가르쳐주신다. 비록 아버지의 모습이 권위주의와 엄격함으로 변모되어갈 수 있다고 하더라도 유아기에는 일어나지 않는다. 
 
그러므로 이 어린이다운 태도가 우리가 기도할 때 하느님과의 관계에서 갖추어야 할 태도이다. 그래서 예수님은 주님의 기도를 해설해주고 계시다. “너희 가운데 어느 아버지가 아들이 생선을 청하는데, 생선 대신 뱀을 주겠느냐? 너희가 악해도 자녀들에게는 좋은 것을 줄 줄 알거든, 하늘에 계신 아버지께서야 당신께 청하는 이들에게 성령을 얼마나 더 잘 주시겠느냐?”(11-13절)라고 하신다. 그러므로 항상 우리 자기 생각을 바꾸어 어린이와 같이 되고자(마태 18,3) 하는 의지를 간직해야 한다. 이때 하늘에 계신 우리 아버지라는 기도가 참된 기도가 될 것이다. 두 번째로 중요한 것은 기도할 때 먼저 성부께 바쳐드려야 할 두 가지 내용에 관해 가르쳐주신다. 즉 하느님의 영광과 그분의 나라가 임하심, 그리고 영적으로 물질적으로 필요한 것들, 즉 매일의 양식, 죄에 대한 용서, 유혹에서의 해방이다. 이처럼 인간의 여러 가지 차원을 하나로 묶으신다. 영적이면서 육적인 인간이 충만히 실현되기 위해서는 둘이 하나가 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또 예수께서 가르치시는 것은 기도가 인간을 괴롭히는 문제들을 하느님께서 해결해주시도록 그분의 손에 맡겨버리는 것이 아니라는 것이다. 만일에 그렇게 된다면 기도는 자기 소외와 같은 행위에 지나지 않을 것이다. 정반대이다. 기도를 통해 인간은 하늘에 계신 성부께서 베풀어주시는 항상 새로운 은총과 힘으로써 자신의 생활 속에서 매일 실현해야 할 하느님의 계획을 발견해야 한다. 
 
비록 하느님의 나라는 하느님께서 실현하시는 것이지만, 우리는 거기에 들어가기 위한 온갖 노력을 하여야 한다. 이것은 일용할 양식을 청하고 죄의 용서를 청하는 데서 더욱 선명하게 드러난다. 우리가 만일 다른 사람의 잘못을 용서하지 않으면 하느님께서도 우리의 죄를 용서해주시지 않을 것이며, 유혹으로부터의 자유도 우리 자신의 의지와 능력에 달려있기 때문이다. 
 
이렇게 우리의 기도가 우리의 생활을 자유로운 마음과 자녀다운 신뢰심으로 하느님의 계획에 하느님의 뜻에 일치되도록 붙잡아주고, 일으켜 세워주고, 변모시켜줄 수 있는 것임을 알아야 한다. 이러한 변화는 무엇보다 먼저 하느님의 뜻을 찾아 이루셨던 예수님의 가르침을 따라 우리도 그러한 기도의 삶을 드릴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기도의 삶을 주님께 바칠 수 있는 삶을 노력하여야 한다 

신고사유를 간단히 작성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