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림마당

알림마당

Home

게시판 > 보기

교구소식

교구수원교구, 성 미술품 체계적 관리 기준 마련

작성자 : 홍보국 작성일 : 2025-11-06 조회수 : 90

문화예술위, 관리 규정 발표·등록 시스템 도입…내년 6월까지 미술품 등록 신청


Second alt text
2022년 7월 5일 열린 장발 화백의 김대건 안드레아 신부 초상화(1929년 작) 기증식 모습. 현존하는 김대건 성인화 가운데 가장 이른 시기의 작품으로 알려진 초상화가 공개되면서 교회 미술에 대한 관심뿐 아니라 그 가치를 보존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졌다. 수원교구의 성 미술품 관리 규정 마련은 숨어 있는 성 미술품을 발굴하는 초석이 될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가톨릭신문 자료사진

수원교구가 본당, 성지, 교회 기관이 보존 중인 성 미술품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기준을 마련했다.

교구 문화예술위원회(위원장 이상돈 에두아르도 신부)는 9월 18일 ‘수원교구 성 미술품 관리 규정’을 발표하고, 내년 6월 30일까지 성 미술품 등록 신청을 받는다.

수원교구 성 미술품 관리 규정에 따르면, 관리 및 보호 대상 성 미술품은 ▲각 본당에 기증됐거나 예술적·역사적 이유로 보배로운 사물 ▲최고액을 초과하는 가치의 사물 ▲신자들의 공경을 위해 성당이나 경당 안팎에 전시된 귀중한 성상과 화상(옛 작품, 예술성이나 공경심에서 탁월한 화상 포함) 등이다. 교구 내에서 보존되거나 사용 중인 성 미술품 전반이 관리 대상이다.

이를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성 미술품 등록 시스템도 함께 도입됐다. 본당과 성지, 기관의 성 미술품 전반을 대상으로 1차로 그룹웨어 미술품 관리 항목에 등록한 뒤, 그중 특별한 가치가 있다고 판단한 성 미술품은 2차로 교구 등록을 할 수 있다. 교구 등록은 담당 신부의 추천과 교구 문화예술위원회 심사를 통해 결정된다. 등록 대상은 성상, 성화, 조각, 회화, 스테인드글라스, 전례용 성물 등 모든 형태의 미술품이다.

등록 시에는 보존 상태, 취득 경위, 제작 연도, 가격, 작가 정보 등의 세부 정보를 게재해야 한다. 교구에 등록된 성 미술품은 역사성·전통성·예술성을 고려해 별도의 심사를 거쳐 교구 지정 유산이나 국가·지역 문화유산으로 지정될 수 있도록 지원할 예정이다.

이상돈 신부는 “222개 본당에 성지와 기관까지 더하면 300여 개 기관에서 성 미술품을 보존하거나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체계적인 관리시스템이 꼭 필요했다”며 “개인의 주관적 판단보다는 문화예술위원회를 통한 공적 관리 체계를 통해 숨겨진 가치를 발견하고, 보다 효율적으로 보존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교구는 성 미술품을 교회의 소중한 유산으로 보고, 보다 체계적인 보호와 관리, 활용을 위해 지난 6월 문화예술위원회를 발족시켰다. 이번 관리 규정 제정에 따라 교구장 이용훈(마티아) 주교는 관련 업무를 문화예술위원회에 위임하고, 등록뿐 아니라 성 미술품의 양도나 변경(재수리 등) 시에도 심의를 거치도록 규정했다. 이는 담당 사제의 이동 등으로 인한 관리 소홀이나 훼손을 예방하기 위한 조치다.

또한 교구는 성 미술 작가의 이력을 함께 등록함으로써 작가들이 자부심을 갖고 활동할 수 있도록 격려할 뿐 아니라 작품의 예술적 가치를 검증할 수 있는 제도적 기반을 마련한다는 계획이다. 

이 신부는 “신앙과 가장 가까운 곳에 있는 성 미술품은 신앙심을 증진시킬 뿐 아니라 하느님에게 가까이 갈 수 있는 마음을 키워주는 도구”라며 “신앙생활에 반드시 필요한 성 미술품을 잘 보존하고 사용하기 위해 규정이 마련된 것을 계기로 각 본당도 보존·사용하는 성 미술품의 가치를 돌아보는 시간이 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민경화 기자 mkh@catimes.kr

[언론사 기사 바로가기]


첨부파일

신고사유를 간단히 작성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