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산대리구 사제단
안산대리구에서는 성 요한 마리아 비안네 신부의 생애와 영성(강의-시화베드로본당 주임 이승준 신부)에 대해 배우며 새벽 4시부터 병자 방문, 고해성사 등 사제로서의 삶에 최선을 다했던 비안네 신부의 삶과 자신을 돌아보는 시간을 가졌다. 안산대리구장 김한철 신부는 “교황님이 왜 올해 특별히 ‘사제 성화의 날’을 지내도록 요청하였을까를 생각해 보아야 한다”며 “우리가 주님의 뜻에 맞는 주님의 종으로서 사제다운 삶을 살아 본당 신자들과 일반인들에게 흠 잡히지 않는 모범적인 삶을 살아가기를 바란다”고 당부했다.
목감본당 주임 이석재 신부는 “특별히 비안네 신부의 영성을 들으면서 사제 서품식 때 가졌던 마음을 성찰할 수 있어 좋았고 다시 한 번 사제직에 대해서 생각해 보는 소중한 시간이었다”며 “사제로서 어려움이 다가온다면 혼자서 해결하기보다는 하느님께 지혜를 구하고 도움을 청하며 겸손한 자세로 살아갈 것”이라고 다짐을 밝혔다.
성 라자로마을에서 열린 안양대리구 사제성화의 날 프로그램(▲사진)은 ‘산티아고 순례에서 찾은 나의 십자가’를 주제로 한 양형권 신부의 강의와 성체강복시간, 족구대회에 이어 저녁식사로 이어졌다. 현재 장주기 요셉관에 머물고 있는 최덕기 주교도 참석해 사제단과 함께 했다. 이날 안양대리구 내 사제들은 강의와 성체강복시간을 통해 사제의 삶에 대해 생각해 보는 한편, 그리스도 안에서 하나 되는 시간을 가졌고, 족구대회를 통해 친교를 다지며 사제의 해를 맞이하였다.
한편, 용인대리구 사제단(▲사진)은 성 김대건 신부의 발자취를 따라 걷는 태화산 도보 순례를 가졌다. 용인시 처인구 양지면 대대리 은다라니(무량골, 사기점, 쇠내실) 부터 터골 ~태화산~가래실(광주시 도척면 추곡리)에 이르는 3시간 코스(641m)로 진행된 이번 순례를 통해, 사제들은 한국인 최초의 사제 김대건 신부의 몇 개월 동안의 길지 않은 사목 활동 지역인 용인과 광주 일대 태화산을 오르내리며, 복음의 씨앗을 뿌리기 위해 경건하고 당당한 신앙자세로 열성적 전교를 펼치며 거닐었던 청년 사제가 겪은 시대적 상황을 묵상하기도 했다.
용인대리구장 김학렬 신부는 “태화산 너머 광주시 도척면 노곡리 ‘김대건 전교 기념 도척성당’과 상림리 ‘시어(時魚)골’ 그리고 곤지암 ‘먹뱅이’(먹방리, 묵방리) 등도 김대건 신부님의 발자취가 배어 있는 곳”임을 전했다.
“고해성사와 미사성제에 목말라하는 교우들에게 많은 시간을 할애해 주지 못하는 안타까움, 육체적 배고픔과 고단함을 감내하던 김대건 신부님의 고통을 생각하며 순례에 임했다”는 성복동성마리아요셉 본당 주임 김정곤 신부는, “현시대의 사제들도 박해시대와는 또 다른 모습으로 고통과 어려움을 안고 있다”며, “세속적·물신주의적 사고방식에 익숙한 교우들에게 복음을 선포하는 일, 사제 인격 안의 하느님을 보기보다 인간적으로만 보고 사제를 가볍게 여기는 흐름, 그리고 세상의 강한 유혹 등으로 인해 사제의 길이 쉽지는 않지만, 십자가 길을 걸으신 예수님과 순교의 길을 가신 김대건 신부님을 따라 끝까지 가고 싶다”고 밝혔다.
평택대리구 사제단(◀사진)은 요당리성지에 모여 원로사목자 임충승(시몬) 신부의 강의를 듣고 개인 묵상과 성체조배, 성체 강복 안에서의 성무일도를 함께 봉헌하였다. 평택대리구장 조원규 신부는 “사제의 해 맞아 비안네 신부님의 삶을 조명하면서 1년간 열정적 모습을 통해 각 본당 신부님을 중심으로 모든 공동체가 좋은 모습으로 발전해나가길 바란다”고 전했다.
6월 19일부터 2010년 6월 19일 로마에서 열리는 ‘세계 사제의 날’로 마무리될 ‘사제의 해’ 기간 동안 사제들과 신자들에게는 특별 대사의 은총이 수여된다.
이에 교구장 이용훈 주교는 삼위일체대축일인 6월 7일 ‘교황청 내사원 교령에 따른 수원교구의 ‘사제의 해’ 전대사 세부규정’을 공표하고 19일 사제의 해 메시지를 발표했다.
‘사제의 해’ 기간에 신자들의 편의를 위하여 유익한 사목적 배려로써 전대사를 위한 날들로 지정된 일시는 ▲사제의 해 개막일인 2009년 6월 19일과 폐막일인 2010년 6월 19일 ▲2009년 8월 4일(성 요한 마리아 비안네 사제 기념일) ▲2010년 부활 제4주일(성소주일) ▲매달 첫 목요일 미사와 성시간(사제 성화와 사제 성소자들을 위한 지향)이며, 전대사를 위한 장소는 교구 내 사목구의 각 성당과 성지 및 경당(교구장의 공식적인 허락으로 설치된 성당 및 경당도 포함)이다. 또 ‘사제의 해’를 위한 교구의 특별 지정 장소로 ▲정자동주교좌성당 ▲미리내성지 ▲은이(골배마실) 성지 등 세 곳이 지정된 바 있다.
박명영,서전복,성기화,연희정,이상숙 명예기자
정리: 교구 홍보·전산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