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성우 안토니오 성인의 순교 169주년을 맞이하여 구산성지에서 25일 최덕기 주교 주례로 현양미사가 봉헌되었다. 성남대리구장 조원규 신부와 사제단, 신자 1500여 명이 함께 한 현양미사에서 신자들은 성인과 순교 선조들을 기리고 그들의 믿음의 씨앗이 모든 사람의 삶 안에서 열매 맺도록 기도하는 시간을 가졌다.
현양대회는 묵주기도, 은총미사와 함께 김성우 성인의 이야기와 성음악으로 꾸며진 성시간으로 이어졌다. 최덕기 주교는 미사 강론에서 “우리는 삶 안에서 끊임없는 선택을 하면서 살게 되는데, 이 때 복음정신과 교회정신에 따라서 선택하는 것이 곧 참된 천주교 신앙인이요, 성인처럼 순교의 삶을 사는 삶”이라고 하였다. 또 “성인의 천상탄일을 맞이하는 오늘, '사생(死生)간 천주교인이오'라는 성인의 신앙고백말씀처럼 각자 자신의 신앙고백 한마디를 찾아서 돌아갈 수 있게 되길” 당부했다.

이날 구산성지에는 포일본당 500여명의 신자들과 성지와 근접해 있는 서울본당의 신자들이 함께 하였다. 영성체 후 특송으로 이어진 화밀리아성가대의 김성우 안토니오 찬미가, 사물놀이, 가톨릭 문화선교단 선교세상과 고영민의 특송은 성인의 천상 탄일을 기념하기 위해 순례한 신자들에게 더욱 더 풍요롭고 기쁨의 찬양시간이 되었다.
가족과 함께 현양대회에 참석한 임 그라시아 씨는 “미사 중 최 주교님께서 '자신만의 신앙 고백문을 담아가길 바란다'고 하신 말씀을 들으니, 문득 그래~ 내 안에서 뭔가 찾아야할 몫이 있구나!’ 하는 생각이 들었다”며 “남편이 아직 신앙이 없어서 같이 온게 불편할까봐 마음 쓰이기도 했지만, 가족과 함께 야외미사도 드릴 수 있어 참 좋았다”고 전했다.
“냉담 이후 처음 찾는 성지라 의미가 남다르다”는 최 미카엘라 씨는, “김성우 안토니오 성인의 말씀(死生間天主敎人)에 '나라면? 나는 과연?' 하고 스스로를 돌아보는 시간이었다.”고 전했다. [※안내 및 후원문의 : 031-792-8540]
배정애,이상숙 명예기자
김성우 안토니오 성인에게 묻는다 (*구산성지 안내책자에서 발췌)
▲ 성인은 언제 어디서 태어나셨나요?
- 1795년 구산이지요.
▲ 성인은 어떻게 하느님 나라를 전교하였을까요?
- 친척과 이웃을 입교시켜 구산을 지금의 교우 촌으로 만들고 유방제 신부로부터 보례를 받고, 한동안 유방제신부를 모시고, 회장직을 수행하며 온 마을에 복음을 전하였으며, 1836년 모방(Maubant) 나신부가 입국하자 자기 집에 모시고 우리말과 조선의 풍습을 가르치기도 하였습니다.
▲ 성인은 박해하는 자들에게 신앙을 증거할 때 어떤 말씀을 하셨나요?
- 나는 천주교인이오, 살아도 천주교인으로 살고, 죽어도 천주교인으로 죽고자 할 따름이오.
▲ 성인이 순교한 때는 언제이며, 순교할 수 있었던 힘은 무엇일까요?
- 1841년 4월 29일 성인의 나이 74세. 주님께 향한 열렬한 믿음과 주님께 받은 사랑에 대한 보답이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