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구이성효 신부, 천주교 수원교구 보좌주교로 임명
작성자 : 관리자
작성일 : 2011-02-08
조회수 : 1549
베네딕토 16세 교황께서 수원교구 이성효 리노 신부(54세. 1992년 사제 수품)를 수원교구의 보좌 주교(Auxiliary Bishop of the Diocese of Suwon)로 임명하셨다고 주한 교황대사관이 발표했다. 이 결정은 2011년 2월 7일 오후 8시(로마 시각 낮 12시) 교황청 기관지 로세르바토레 로마노(L'Osservatore Romano)誌에 공식 발표됐다.
신임 이 주교는 1957년 경남 진주 출생으로 수원가톨릭대학교, 독일 트리어대학교에서 수학 후 1992년 사제로 수품되었다. 호계동 성당 보좌를 거쳐 1993년부터 2000년 6월까지 파리 가톨릭대학교에서 교부학으로 박사학위 취득하였으며, 2001년-2003년 오산성당 주임신부를 역임하였다. 2003년부터 수원가톨릭대학교 교수로 재직하며 사목부장, 영성관장, 교무처장, 대학원장을 거쳤고, 현재 수원가톨릭대학교 평생교육원장, 학술연구소장을 맡고 있다.
보좌 주교(Auxiliary Bishop)는 교구의 전반적 통치에 교구장 주교를 보필하지만, 계승권을 지닌 부교구장 주교(Coadjutor Bishop)와는 달리 교구장좌 계승권은 없다(교회법 제403조 제1항).
한국 천주교회는 이 주교의 임명으로 33명의 주교(추기경 1명, 대주교 5명, 주교 27명)를 갖게 되었다. 현직 주교는 22명(추기경 1명, 대주교 2명, 주교 19명)이며, 은퇴주교는 11명이다. 한국 천주교회는 16개 교구로 되어 있으며 서울, 대구, 광주는 대교구이며 대주교가 교구장을 맡는다. 북한에 평양교구, 함흥교구, 덕원 자치 수도원구가 있다. 평양교구장은 서울대교구장이, 함흥교구장은 춘천구교장이 교구장 서리를 맡고 있으며, 덕원 자치 수도원구 교구장서리는 성 베네딕도회 왜관 수도원장 이형우 아빠스가 맡고 있다.
수원교구(교구장 이용훈 주교)는 1963년에 설립되었으며, 초대 윤공희 대주교, 故김남수 주교, 최덕기 주교에 이어 이용훈 주교가 제4대 교구장을 맡고 있다. 관할 지역은 서울과 인천을 제외한 한강 이남 경기도 지역이다. 6개의 대리구로 운영되며 195개의 성당에 402명의 사제와 78만여 명의 신자가 있다. 정자동 주교좌성당, 조원동 주교좌성당이 공동 주교좌 성당이다.
이력
▲ 1957년 7월 6일 경남 진주에서 부친 이홍희 요셉(1988년 별세)과 모친 황숙재 라파엘라(2007년 별세) 사이에서 3남 2녀 중 3남으로 출생.
▲ 1961년(5세)에 공직자이신 부친의 전근으로 진주에서 대구로, 1964년(초등학교 1학년)에 수원으로 이사하여 정착함.
1. 학 력
▲ 1976 수원 고등학교 졸업
▲ 1976-1980 아주대학교 전자공학과(학사)
▲ 1983-1985 서울대학교 대학원 전자공학(석사)
▲ 1985-1987 수원가톨릭대학교(신학사)
▲ 1987.8-1992.2 독일 트리어(Trier)대학교 신학대학원 교부학(석사학위)
▲ 1993.4-2000.6 프랑스 파리 가톨릭대학교 교부학(박사학위)
2. 사제 경력
▲ 1992. 4. 9 사제서품
▲ 1992.4-1993.1 호계동 성당 보좌신부
▲ 2001.1-2003.9 오산 성당 주임신부
▲ 2001.3-2003.6 수원가톨릭대학교 강사
▲ 2003.9-현재 수원가톨릭대학교 교수
▲ 2004.12-2006.5 수원가톨릭대학교 사목부장 겸 영성관장
▲ 2006.5-2008.12 수원가톨릭대학교 교무처장
▲ 2006.5.-2006.12 수원가톨릭대학교 대학원장
▲ 2006.12-2010.7 수원가톨릭대학교 부설 평생교육원장
▲ 2008.6.- 2010. 9 한국가톨릭신학학회 편집위원장
▲ 2008.12.-2010. 7 수원가톨릭대학교 이성과 신앙 연구소장
▲ 2010.9- 현재 안식년
▲ 2011.2.7. 수원교구 보좌 주교 임명
3. 주요 논문, 저서, 역서
1) 논 문
▲ Die Kirchenlehre vom heiligen Augustinus(석사학위)
성 아우구스티누스의 교회론(요한 복음강해 trac. 80을 중심으로)
▲ La Joie selon saint Augustin et ses implication pastorales(박사학위)
성 아우구스티누스의 기쁨에 대한 이해와 그 사목적 적용
▲ 기쁨의 원천인 삼위일체, 이성과 신앙 22호, 수원가톨릭대학교 출판부 2001
▲ 기쁨의 완성: 아우구스티노의 이교인과의 대화 안에서, 사목 281호 2002
▲ 아우구스티누스의 ‘인내론’ 친저성 문제와 내용 이해, 가톨릭신학 5호, 한국가톨릭신학학회 2004
▲ 성 아우구스티누스 사상에 나타난 ‘기쁨의 이중적 여정’, 가톨릭신학 7호, 한국가톨릭신학학회 2005
▲ L'homme, Joie de Dieu selon saint Augustin, Transversalits 94, 2005
성 아우구스티누스 사상에 나타난 하느님의 기쁨으로서의 인간
▲ 아우구스티누스의 신앙과 신경에 관하여(교부학), 가톨릭신학 11호, 한국가톨릭신학학회 2007
▲ 제삼천년기 신학 어디로 가는가?, 한국그리스도사상 15집, 한국그리스도사상연구소 2007
▲ 아우구스티누스 사상에 나타난 그리스도교 상징 이해, 이성과 신앙 35호, 수원가톨릭대학교 출판부 2008
▲ 아우구스티누스의 사목적 관상, 성아우구스띠노 수도회 성녀 리따 영성센터 학술발표회 2008.10
▲ 아우구스티누스의 관상에 대한 이해, 신학전망(2010. 1)
2) 저 서
▲ 교부학 인명(공저), 지명 통일한 공청회 자료집, 한국교부학연구회 2004
▲ 선포와 봉사, 기쁨과 희망 사목 연구원 2003.6(강론자료집)
3) 역 서
▲ 아우구스티누스의 인내론, 수원가톨릭대학교 출판부 2005
▲ 아우구스티누스의 입문자 교리 교육, 수원가톨릭대학교 출판부 2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