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길 들길을 걷다가 쪼그리고 앉아 길섶에 피어있는 작은 우리꽃을 찍는다. 그럴 때마다 함께하는 사람들이 묻는다. 어떻게 그렇게 작은 꽃을 찾아내느냐고.
“관심을 가지면 보입니다”라고 항상 대답한다.
키가 큰 여름 꽃들과는 달리 봄에 피는 꽃들은 작고 키도 크지 않아 잘 눈에 띄지 않는다.
사진을 찍을 때에도 몸을 낮추어 눈높이를 맞춰야 좋은 작품을 얻을 수 있다. 그래서 우리는 겸손해져야 꽃을 볼 수 있다고 말하기도 한다.
‘꽃에 미친 남자’라는 말도 들어가며 우리 들뫼꽃을 찾아 다닌지 8년째. 이제는 굳이 꽃을 찾으려 애쓰지 않아도 꽃들이 먼저 말을 걸어온다.
본당에서 각종 행사를 촬영한지 6년째 그리고 명예기자로 나선지도 4년째이다. 처음에는 각 미사전례서를 열심히 읽었고 미리 현장에 도착하여 분위기도 살폈다. 하지만 언제부터인가 나름 전문가인양 행세하고 있었다. 모든 것을 다 아는 것처럼 행동하는 내 자신을 발견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직도 사진기를 들고 행사장엘 가면 그저 습관적으로 찍고 있을 뿐 만족할만한 결과물을 얻지 못한다. 때론 답답함도 느낀다.
지난 7월 24일자에 실린 ‘아덴만의 영웅 석해균 선장, 아주대병원서 세례받아’란 기사를 보면 ‘보례’라는 용어가 나온다. 보례란 대세로 받은 세례성사의 다른 부분을 보충해 받는 예식임을 처음으로 그 기사를 통해 알게 되었다. 그 순간 깨달았다. 나의 지식이, 나의 믿음이 얼마나 미천한지를. 그리고 내가 답답함을 느끼는 것은 그만큼 내가 모르기 때문이라는 것을.
언제쯤 보이게 될까. 언제쯤 자유로워질까. 처음 그 마음으로 다시 돌아가야겠다. 오늘 책장에서 먼지 쌓인 책을 꺼내 첫 장을 다시 연다.
조정현 명예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