옆 사람의 연주에 귀를 기울인다는 것, 혼자만의 세계에 갇힌 지적 장애인에겐 '기적'이나 다름없는 일이라고 한다. 이런 기적을 강원도 평창에서 만든 소녀가 있다.
한 호흡 한 호흡 청아한 플루트 소리가 뻗어나간다. 섬세한 바이올린과 영롱한 피아노가 선율을 주고받으며 아름다운 화음을 빚어낸다.
주인공은 지적장애 플루티스트 박가은(안나, 18) 양 .
평소엔 고개를 돌리고, 눈도 잘 마주치지 못하지만 무대에선 180도 달라진다.
광명장애인종합복지관(관장 조성갑 안나 수녀) 소속 다소니예술단 플루티스트인 박가은 양은 지난 8월 6일, 강원도 평창 알펜시아에서 열린 평창스페셜뮤직페스티벌 개막식에서 천재 바이올리니스트 클라라 주미 강과 함께 화려한 오프닝 무대인 ‘빅 스타 클래식의 밤(Big Star Classic Night)’콘서트에 출연하여 ‘아를르의 여인’을 연주하여 아름다운 선율을 선사하였으며, 9시 뉴스에도 보도됐다.
‘빅 스타 클래식의 밤(Big Star Classic Night)’ 콘서트에는 박가은 양, 바이올리니스트 클라라 주미 강과 대관령국제음악제 예술감독인 바이올리니스트 정경화와 첼리스트 정명화 듀오와 함께 피아니스트 신수정, 첼리스트 강승민 등이 오프닝 무대를 장식했다.
2013 평창동계스페셜올림픽의 감동과 도전정신을 잇기 위해서 마련된 이번 평창스페셜 뮤직페스티벌은 닷새간 평창 알펜시아 리조트에서 ‘투게더 위 플레이(Together We Play)’를 슬로건으로 내걸고 모든 콘서트에서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함께 연주하는 행사로 국내외 12개국 88명의 지적장애 아티스트와 바이올리니스트 김형욱, 성악가 서혜연 등 세계적인 음악명장 등이 멘토로 참가해 음악수업을 진행했으며, 매일 밤 수준 높은 공연을 열었다.
박가은 양의 이번 행사 참가는 다소니 예술단 단원의 음악적 수준을 널리 알리며, 장애인의 사회통합 및 비장애인의 장애인식 개선을 도모하기 위해 한 발짝 다가서는 계기가 됐다.
박가은 양 어머니 강현실(로사·47)씨는 인터뷰에서 “굉장히 여유있게 다 살펴요. 누가 왔는지 관객들 반응은 어떤지 무대를 무척 즐겨요”라며, 음악의 힘으로 장애를 딛고 일어서는 국내외 지적 장애인 100여 명과 첼리스트 정명화 기타리스트 이병우 등 다양한 장르의 예술인들이 만나 함께 음악을 만들어 가는 모습에 감사를 표했다.
“감동을 함께 나누면서 비장애인들이 장애인에 대한 생각을 바꾸고 그것이 세상을 바꾸는 데 기여할 것”이라는 나경원 추진위원장의 말처럼 함께 연주하며 장애라는 장벽을 뛰어 넘는 이번 음악축제는 지난 10일까지 닷새 동안 펼쳐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