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원주보

수원주보

Home

게시판 > 보기

오늘의 묵상

11월 2일 _ 조욱현 토마스 신부

작성자 : 홍보국 작성일 : 2025-11-02 조회수 : 34

복음: 마태 11,25-30: “내가 너희에게 안식을 주겠다.” 
 
1. 죽은 이를 기억하는 날, 우리 자신을 돌아보는 날
오늘은 우리보다 먼저 하느님의 생명에 참여하여 새로운 삶을 살고 계시는 분들을 기억하며, 그분들로부터 받은 은혜에 감사드리는 날이다. 또한 아직 완전한 하느님과의 일치를 향해 정화의 여정에 있는 영혼들을 위해 하느님의 자비를 간청하는 날이기도 하다. 그러나 이날은 단순히 죽은 이를 위한 날이 아니라, 우리 자신이 언젠가 반드시 맞이하게 될 죽음의 신비를 묵상하며 지금의 삶을 되돌아보는 영적 성찰의 날이기도 하다. 
 
2. 연옥: 하느님 자비의 불
오늘 우리는 교회가 오랫동안 가르쳐온 “연옥(煉獄)”에 대해 묵상한다. 연옥은 하느님의 벌이 아니라, 그분의 사랑과 자비가 마침내 완성되는 정화의 과정이다. 인간은 나약하고 불완전한 존재로, 누구도 완전히 죄에서 벗어날 수 없다. 그럼에도 하느님은 완전하신 분이시기에, 그분 앞에 나아가려면 모든 결점이 사랑으로 정화되어야 한다. 성 아우구스티노는 이렇게 말한다. “하느님께서는 당신의 정의로 심판하시지만, 그 정의는 자비로부터 분리되지 않는다.”(Enchiridion, 68) 이러한 정화의 상태를 교회는 ‘연옥’이라 부르며, 하느님의 성성(聖性), 정의, 자비가 동시에 드러나는 자리로 이해한다. 하느님께서 인간을 단죄하기보다는, 그분의 품에 들어올 수 있도록 마지막 정화의 은총을 주시는 것이다. 
 
3. 교회의 교리와 전통 속의 연옥
연옥에 대한 교회의 가르침은 신앙의 긴 역사 안에서 정립되었다. 리용 공의회(1274)와 피렌체 공의회(1439)는 연옥의 존재와 그 영혼을 위해 산 이들의 기도와 미사, 선행이 유익하다고 가르쳤다. 트리엔트 공의회(1545–1563)는 연옥의 영혼들을 위한 기도와 대속(代贖)의 행위가 참으로 도움이 된다고 공식적으로 선언했다. 이것은 죽은 이들과 산 이들이 모든 성인의 통공 안에서 서로 연결되어 있다는 믿음 위에 서 있다. 성 요한 크리소스토모는 이렇게 가르친다. “죽은 이들을 위해 기도하라. 이는 그들에게 위로가 되고, 우리에게 유익이 된다. 한 몸 안에서 그들이나 우리가 분리될 수 없기 때문이다.”(Homilia in Philippenses, 3) 
 
4. 연옥의 정화와 희망
연옥의 영혼들은 자신이 지은 죄에 대한 정화의 고통을 받는다. 그러나 그 고통은 절망이 아니라, 희망 안에서의 고통이다. 그들은 이미 구원받았으며, 하느님께 도달할 것이 확실하기 때문이다. 제노바의 성녀 가타리나는 ‘연옥 논고’에서 이렇게 말한다. “연옥의 영혼들은 고통받지만, 그 고통 안에 가장 큰 기쁨이 있다. 그들은 하느님께로 가까워지고 있다는 것을 알고 있기 때문이다.” 연옥의 고통은 하느님의 사랑이 불처럼 작용하는 정화의 과정이다. 이 불은 미움의 불이 아니라, 불순물을 태우는 사랑의 불, 곧 하느님 자신이다(히브 12,29 참조). 
 
5. 산 이들의 사랑: 통공의 신비
연옥의 영혼들은 더 이상 스스로 아무것도 할 수 없지만, 지상에 있는 우리들의 기도와 희생, 미사를 통해 그들의 고통은 줄어들고 정화는 빨라진다. 이는 마치 아버지가 빚을 남기고 돌아가셨을 때, 그 아버지를 사랑하는 자녀가 대신 그 빚을 갚아 그의 명예를 회복시켜 드리는 것과 같다. 사랑은 죽음보다 강하기 때문입니다(아가 8,6 참조). 성녀 모니카는 죽음을 앞두고 아들 아우구스티노에게 이렇게 부탁했다. “내가 어디에 묻히든 상관없다. 다만, 주님의 제단에서 나를 기억해다오.”(Confessiones, IX,11) 오늘 우리가 드리는 위령의 미사는 바로 그 기억과 사랑의 행위이다. 우리가 바치는 이 미사와 기도는 하느님께서 자비로이 받아들이시어, 연옥의 영혼들에게 참된 평화를 주실 것이다. 
 
6. 모든 성인의 통공: 하늘과 땅의 연결
우리는 신앙의 고백 속에서 “모든 성인의 통공을 믿나이다.”라고 말한다. 이는 지상의 교회, 연옥의 교회, 천상의 교회가 서로 떨어져 있는 세 공동체가 아니라, 한 몸, 한 교회임을 의미한다. 천상의 교회는 완전한 일치 속에서 우리를 위해 전구한다. 연옥의 교회는 정화 속에서 하느님께 나아가며, 우리의 기도가 필요하다. 지상의 교회는 기도와 선행으로 그들과 통공한다. 이 세 교회는 모두 그리스도의 몸 안에서 하나이며, 우리의 사랑은 죽음으로 끊어지지 않는다(로마 8,38-39). 
 
7. 복음의 위로: “내가 너희에게 안식을 주겠다.”
오늘 복음에서 주님은 말씀하신다. “수고하고 무거운 짐을 진 너희는 모두 나에게 오너라. 내가 너희에게 안식을 주겠다.”(마태 11,28) 이 말씀은 단지 살아 있는 이들에게만이 아니라, 모든 피로한 영혼들, 특히 정화 중인 영혼들에게 주시는 위로의 말씀이다. 그분의 멍에는 부드럽고, 그분의 짐은 가볍다. 하느님께서는 당신 품 안에서 모든 영혼에게 참된 안식을 주신다. 
 
8. 결론: 사랑의 기념과 희망의 기도
오늘 우리는 돌아가신 부모님, 형제자매, 친지들, 그리고 이름 없이 세상을 떠난 모든 영혼을 기억한다. 그들이 하느님의 얼굴을 뵙고, 영원한 생명 안에 머무르도록 기도하자. “의인들의 영혼은 하느님의 손안에 있으며 어떠한 고통도 그들을 건드리지 못한다.”(지혜 3,1) 우리가 오늘 드리는 이 미사 안에서 그들의 평화를 빌며, 동시에 우리 자신의 구원을 새롭게 다짐하자. 우리의 삶 또한 언젠가 주님의 품 안에서 그들과 다시 만나리라는 희망 안에서 이 미사를 봉헌하자.
“주님, 죽은 모든 이에게 영원한 안식을 주소서. 영원한 빛이 그들에게 비추게 하소서. 아멘.” 

신고사유를 간단히 작성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