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류 멸망 공식: ‘이것’이 사라질 때….
찬미 예수님!
세상은 어떻게 멸망할까요? 혜성이나 운석의 충돌일까요?
아니면 지금 많은 영화에서 보여주듯, 외계인의 침공일까요? 저는 확신합니다.
우리 인류는 '자멸'할 것입니다.
만약 외계인이 존재하고, 그들이 은하계를 여행할 만큼 엄청난 기술력을 가졌다면, 그들은 지구를 침공하지 않을 것입니다.
왜냐하면 그들은 분명 '사랑이 가득한' 종족일 것이기 때문입니다.
수만 광년을 여행하는 기술력은 상상할 수 없는 '인내심'을 요구합니다.
사랑은 감정이 아니라 '의지'이며, 그 의지의 다른 이름이 바로 '인내'입니다.
기술이 발달하면 문제가 생깁니다.
사랑이 사라지는 것입니다.
왜냐하면 모든 편안한 기술은, 그 사랑의 뿌리가 되는 '인내심'을 말살시키기 때문입니다.
1968년, 미국의 동물행동학자 존 칼훈은 '유니버스 25'라는 이름의 충격적인 사회 실험을 진행했습니다.
그는 쥐들에게 완벽한 유토피아를 제공했습니다. 넉넉한 공간, 무제한의 먹이와 물, 천적도 없고
질병도 없는 완벽한 환경이었습니다.
처음에는 쥐들이 폭발적으로 증가하며 낙원을 즐겼습니다.
하지만 개체 수가 2,200마리를 넘어서자, 이상 행동이 나타나기 시작했습니다.
수컷들은 경쟁과 구애를 포기했습니다.
그들은 암컷을 지키거나 둥지를 방어하는 '인내'를 버리고, 그저 제 몸만 치장하는 데 몰두했습니다.
이들을 '뷰티풀 원스(The Beautiful Ones)'라고 불렀습니다.
어미들은 새끼 낳는 것을 멈추거나, 낳아도 돌보지 않고 내버렸습니다.
결국, 단 2년 만에 이 완벽한 유토피아는 저출산과 무관심, 폭력으로 가득 찬 지옥으로 변했고, 마지막 쥐가 죽으며 완벽하게 '멸망'했습니다.
왜 그랬을까요? 먹고사는 문제, 즉 '생존'의 문제가 해결되자, 그 어떤 것도 '인내'하며 이뤄내야 할 의욕과 이유를 잃어버렸기 때문입니다.
이것이 어찌 쥐들만의 이야기이겠습니까?
제가 아일랜드에 갔을 때, 뼈아픈 역사의 아이러니를 목격했습니다.
아일랜드는 수백 년간 영국의 성공회로부터 그토록 잔인한 박해를 받으면서도 '인내'로써 가톨릭 신앙을 지켜낸 나라입니다.
그들의 신앙은 목숨과도 같았습니다.
그런데 1990년대, '켈틱 타이거'라 불리는 경제 부흥이 일어나, 아일랜드의 1인당 GDP가 그토록
억압했던 영국을 추월하기 시작했습니다.
그들은 박해 속에서도 지켜낸 신앙을, 풍요 속에서 스스로 버리기 시작했습니다.
잘 살게 되자, 더 이상 하느님께 매달리며 인내할 필요가 없어진 것입니다.
제가 본 아일랜드의 텅 빈 성당들은, '유니버스 25'의 마지막 모습을 떠올리게 했습니다.
오늘날 우리 대한민국은 어떻습니까?
세계 최고의 인터넷 속도, 세계 최고 수준의 생활 환경.
우리는 역사상 가장 살기 좋은 유토피아에 살고 있습니다.
그런데 그 결과는 무엇입니까?
세계 1위의 저출산율입니다.
'유니버스 25'의 쥐들처럼, 많은 청년이 결혼과 출산이라는 '인내'의 과정을 거부합니다.
"며칠만 일해서 나 혼자 편하게 살면 되지,
왜 굳이 힘든 길을 가야 하는가?"라고 묻습니다.
이런 환경은 우리의 뇌 구조마저 바꾸고 있습니다.
우리는 유튜브 영상이 3분만 길어져도 참지 못하고, 10초 안에 모든 것이 결정되는 '쇼츠'에 중독됩니다.
1초도 참지 못하게 된 것입니다.
이런 도파민 중독 상황에서, 두꺼운 책을 '인내'하며 읽는 사람은 신기한 존재가 되었습니다.
오늘 복음에서 예수님은 종말의 징조로 전쟁과 지진, 기아와 혼란을 말씀하십니다.
그런데 이 혼란은 단순히 못 살아서 생기는 것이 아닙니다.
더 잘살게 되면서, 더 많이 가지려는 탐욕과 더 빨리 즐기려는 조급함 속에서 더 큰 전쟁과 혼란이 벌어집니다.
이 모든 '유니버스 25'의 멸망 징조 속에서, 예수님은 오늘 우리에게 단 하나의 해법을 주십니다.
"너희는 인내로써 생명을 얻어라." (루카 21,19)
예전에는 먹고살기 위해, 즉 '나를 이기는' 인내가 필요했습니다.
하지만 지금 우리에게 필요한 인내는 다릅니다. 유재석 씨나 박진영 씨처럼, 최고의 자리에 있으면서도 나태해지지 않기 위해 매일 자신과 싸우는 그런 '적극적인 인내'입니다.
그렇다면 우리는 구원을 위해 무엇을 인내해야 할까요?
예수님께서는 사도 바오로를 통해 그 길을 알려주셨습니다.
"언제나 기뻐하십시오.
끊임없이 기도하십시오. 모든 일에 감사하십시오." (1테살 5,16-18)
이 세 가지를 '죽기까지' 인내하는 것이 우리가 얻어야 할 생명의 길입니다.
첫째, 매일 기도할 시간을 정해서 '인내'하며 바치는 것입니다.
둘째, 매일 감사 일기를 쓰며 억지로라도 감사할 거리를 찾는 '인내'입니다.
셋째, 내 감정이 어떠하든 '기뻐하기로' 선택하는 '인내'입니다.
이것은 우리의 이기적인 본성과의 싸움입니다. 아기가 걷기 위해 2,000번 넘게 엉덩방아를 찧고도 다시 일어나는 것처럼, 우리도 넘어져도 다시 일어서는 '의지', 곧 '인내'가 필요합니다.
그래서 우리에게는 '고해성사'가 필수적입니다. 누군가 미워져서 기쁨과 감사를 잃었을 때,
고해성사를 보고 다시 일어서는 것입니다.
인내가 없으면 죽은 것입니다.
그러나 인내는 반드시 생명을 가져옵니다.
첫째, '기도'의 인내는 생명을 줍니다.
아들의 살인범 유영철을 용서하기 위해, 고정원 씨가 수년 동안 "그를 용서하게 해 달라"고 끊임없이, '인내하며' 기도했던 것을 기억합니다.
그 불가능해 보였던 기도의 인내가 결국 그녀의 영혼에 참된 평화라는 생명을 가져다주었습니다.
제가 성체조배를 매일 1시간씩 하라고 해서 그것을 의지적으로 하여 여러 기적같은 일들이
일어났던 것을 봅니다.
그 인내가 자신과 자녀와 가족의 생명을 살렸습니다.
둘째, '감사'의 인내는 기적을 만듭니다.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여성 중 한 명인 오프라 윈프리는, 자신의 불행했던 과거를 이겨낸 힘이 매일 밤 '감사 일기'를 쓴 인내에 있었다고 고백합니다.
그녀는 잠들기 전, 억지로라도 5가지 감사한 일을 찾아 적었습니다.
이 '인내'하는 습관이 절망을 희망으로 바꾸는 시선이 되었고, 그녀의 삶 전체를 생명으로 이끌었습니다.
감사일기를 매일 쓰는 것, 십일조를 매번 바치는 것은 엄청나게 중요한 일입니다.
셋째, '기쁨'을 선택하는 인내는 관계를 살립니다. EBS의 한 다큐멘터리('엄마가 울었다')에서,
한 반의 아이들에게 '30일 동안 매일 부모님 칭찬하기' 숙제를 내주었습니다.
아이들은 처음에는 "어색해요", "할 말이 없어요"라며 불평했습니다.
하지만 숙제이기에 '참고' 하다 보니, 부모님을 보는 시선이 달라졌습니다.
한 아이는 이렇게 말했습니다.
"처음엔 억지로 했는데, 하다 보니 정말 부모님이 고맙게 느껴졌고, 그렇게 말하는 제 자신이
자랑스러워졌어요."
억지로 시작한 인내가, 진짜 '기쁨'과 '생명'의 관계를 만들어낸 것입니다.
사랑하는 형제자매 여러분, 우리의 일상이 '유니버스 25'의 멸망으로 가고 있습니까,
아니면 이들처럼 생명으로 가고 있습니까? 기뻐지려면 기쁘게 해 주어야 합니다.
행복의 의지를 가집시다.
세상이 주는 빠르고 쉬운 쾌락을 거부하고, 하느님께서 주신 '기도, 감사, 기쁨'의 십자가를
'인내'로써 지고 가십시오.
그 인내의 끝에서, 주님께서는 우리에게 영원한 생명을 주실 것입니다.
의지가 소멸하면 나도, 세상도 소멸합니다. 왜냐하면 사랑은 의지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입니다.
신고사유를 간단히 작성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