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 마태오 사도 복음사가 축일>(9.21)
-창조시기 21일째-
"'나를 따라라.' 그러자 마태오는 일어나 그분을 따랐다."(마태9,9)
'부르심과 응답!'
"나를 따라라."
예수님께서 '세리 마태오'를 부르십니다.
그러자 마태오는 곧바로 일어나 예수님을 따라나섭니다.
예수님의 열두 제자들 중에서 마태오 사도의 직업은 '세리'였습니다. 세리는 식민국 로마의 협조자로서, 당시 유다인들로부터 민족의 배신자로 낙인찍혀 죄인 취급을 받고 있었던 사람입니다.
예수님은 그런 마태오를 부르십니다.
이것이 바리사이들이나 율법 학자들에게는 '예수님께 대한 커다란 걸림돌'이었을 것입니다.
예수님께서 불만을 드러내는 그들에게 이렇게 말씀하십니다.
"튼튼한 이들에게는 의사가 필요하지 않으나 병든 이들에게는 필요하다. 너희는 가서 '내가 바라는 것은 희생 제물이 아니라 자비다.' 하신 말씀이 무슨 뜻인지 배워라. 사실 나는 의인이 아니라 죄인을 부르러 왔다."(마태9,12-13)
하느님께서 당신 아들 예수 그리스도를 부르신 이유는 죄인의 구원이었고, 예수님께서는 십자가에 달려 돌아가실 때까지 구체적인 움직임으로 이 부르심에 응답하셨습니다.
오늘 독서는 사도 바오로가 감옥에 갇혀 있을 때 에페소 교회에 보낸 편지인데, 이 편지에서 사도 바오로는 그들에게 이렇게 권고합니다.
"주님 안에서 수인이 된 내가 여러분에게 권고합니다. 여러분이 받은 부르심에 합당하게 살아가십시오. 겸손과 온유를 다하고, 인내심을 가지고 사랑으로 서로 참아주며, 성령께서 평화의 끈으로 이루어 주신 일치를 보존하도록 애쓰십시오."(에페4,1-3)
한 분이신 하느님께서 서로 다른 우리를 각각 부르셨습니다. "그리스도께서 나누어 주시는 은혜의 양에 따라, 우리는 저마다 은총을 받았습니다."(에페4,7)
하느님으로부터 받은 은총을 기억하고,
이 은총을 공동선과 공동이익을 위해 기쁘게 다시 내어놓는 모습으로 하느님 부르심에 응답하는 하느님의 자녀들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마산교구 이병우 루카 신부
신고사유를 간단히 작성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