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원주보

수원주보

Home

게시판 > 보기

오늘의 묵상

1월 1일 _ 조명연 마태오 신부

작성자 : 관리자 작성일 : 2022-01-01 조회수 : 850

2022년 임인년(壬寅年) 새해가 밝았습니다. 새해 복 많이 받으시고, 하시고자 하는 모든 일에 주님의 사랑과 은총이 가득하시길 기도합니다. 
 
새해에 가족과 함께하는 분들이 많을 것입니다. 그렇다면 가족은 나와 가까운 사람들일까요? 먼 사람들일까요? 가족과 함께하는 시간은 편할까요? 불편할까요? 당연히 가족은 가까운 사람들이며 편한 존재라고 말씀하십니다. 그런데 그렇지 않은 가족을 많이 봅니다. 
 
코로나19로 인해서 집에 있는 시간이 늘어났고 따라서 가족과 있는 시간이 많아졌다고 합니다. 그런데 같이 지내면서 불편함을 느끼고, 점점 너무 먼 사람들처럼 여겨지게 된다는 것입니다. 그래서 코로나 이혼이라는 신조어가 생겼고, 가정 폭력이나 아동학대도 많이 증가했습니다. 
 
많은 이가 가족을 나와 동일시합니다. 그러나 가족 역시 엄연히 타인입니다. 내 생각과 행동을 전혀 이해하지 못하는 타인이라는 것입니다. 타인임을 인정한다면 우리가 반드시 지켜야 할 것이 있습니다. 바로 예의와 격식입니다. 나와 가장 가깝고 편한 가족이라도 예의와 격식을 지키지 않는다면, 편함은 없어지고 거리가 더 멀게 느껴질 수밖에 없습니다. 
 
예의와 격식을 지키지도 않으면 “가족이면서 이것도 이해 못 해?”라고 말해서는 안 됩니다. 예의와 격식을 지켜나갈 때, 진짜 가족이 됩니다. 예의와 격식의 시작은 ‘감사’입니다. 감사의 마음만 갖는 것이 아니라, 실제로 감사를 표시할 수 있어야 합니다. 
 
새해를 맞이하는 오늘, 우리는 천주의 성모 마리아 대축일을 봉헌합니다. 한결같이 우리 신앙의 모범을 보여주신 천주의 성모 마리아를 본받아 하느님의 뜻에 순종하는 삶을 살아가기로 다짐하고, 세계 평화를 기원하며 성모님의 전구를 청하는 날인 것입니다. 
 
성모님께서는 예수님 잉태의 순간부터 하느님의 놀라운 이끄심을 체험하셨습니다. 그런데 그 모든 일을 오늘 복음에서 말하고 있는 것처럼 마음속에 간직하고 곰곰이 되새기셨습니다. ‘곰곰이 되새겼다’라는 복음사가의 말은 성모님께서 자신이 본 일을 성경에서 장차 이루어지리라고 했던 이야기들과 연결해 생각해 보았다는 뜻입니다. 성모님께서는 자기 뜻대로 또 자기를 드러내는 모습으로 살지 않으셨습니다. 하느님을 함부로 판단해서 세상에 말하는 폭력을 행사하는 것이 아닌,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면서 자기 안에서 곰곰이 되새기셨을 뿐입니다. 하느님의 어머니이시지만 예의와 격식을 잃지 않으신 것입니다. 
 
우리 역시 가족 안에서 또 내가 만나는 모든 사람과의 관계에서 이 예의와 격식을 갖춰야 합니다. 감사의 삶을 살 수 있습니다. 

신고사유를 간단히 작성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