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형수에 관한 한 연구 결과에 따르면, 사형 집행 날짜를 모르는 사형수는 너무 불안한 나머지 스스로 목숨을 끊는 경우가 많다고 합니다. 반면 자신의 죽을 날짜를 알고 있는 사형수는 불안해하는 게 아니라 자신의 생을 반성하며 슬퍼한다고 합니다. 그러면서 자기 삶을 정리하는 것입니다.
우리는 어떤가요? 분명한 진실은 우리 모두 예외 없이 언젠가는 죽는다는 것입니다. 그날이 언제인지는 모르지만, 분명히 죽습니다. 그런데 정확한 날짜를 몰라서 지금 아무렇게나 사는 것이 아닐까요?
주님께서는 공생활을 시작하며 “때가 차서 하느님의 나라가 가까이 왔다. 회개하고 복음을 믿어라.”라고 하셨습니다. 회개는 곧 자기반성입니다. 자기반성으로 하느님께 되돌아가는 삶을 사는 것입니다. 자기 뜻만을 내세우는 삶이 아닌, 하느님 뜻이 드러나는 삶을 사는 것입니다. 그래서 제자들을 부르듯이, 끊임없이 우리를 부르면서 “나를 따라라.”라고 하십니다. 그렇다면 우리는 이 부르심에 어떻게 응답하고 있습니까?
이에 대한 제자들의 모습을 우리가 묵상할 필요가 있습니다. 제자들은 시몬과 안드레아는 그물을 버리고 예수님을 따릅니다. 그리고 제베대오의 아들 야고보와 요한은 부모를 떠나 예수님을 따릅니다. 세상의 일과 가족보다도 더 중요한 것은 주님을 따르는 일임을 오늘 복음의 제자들은 보여줍니다.
불의의 사고로 하늘 나라에 간 언니의 유품을 정리한 동생과 이야기를 나눈 적이 있습니다. 유품을 정리하면서 깜짝 놀랐다는 것입니다. 평소에 짐이 없어서 유품 정리할 것이 있을까 싶었는데, 생각보다 정리할 짐들이 너무나도 많더라는 것입니다. 그런데 자신은 언니보다 훨씬 많은 짐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꼭 필요하다는 생각이 들어서 하나하나 사들였던 물건들이 너무나 많았습니다. 정작 하늘 나라에 들어갈 준비는 하지 않고 이 세상이 영원한 것처럼 죽음 뒤에는 아무런 소용도 없는 것들을 애지중지했다는 반성을 하게 되었다는 말씀을 해주셨습니다.
세상의 일이 제일 중요한 것 같지만 죽음 뒤에는 필요가 없습니다. 가족이 제일 중요하다고 생각하지만, 가족들과도 이 세상에서 영원히 함께 할 수 없습니다. 그렇다면 분명해집니다. 주님의 부르심을 따라야 합니다. 주님께서는 가장 힘센 분이시고, 그분의 명령을 따르는 것이야 말로 우리가 하느님 나라에서 영원한 생명을 얻게 하는 결정적인 역할을 하게 합니다.
신고사유를 간단히 작성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