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활 제2주일
새로운 현실에 대한 믿음
[말씀]
■ 제1독서(사도 5,12-16)
사도행전은 첫 그리스도교 공동체의 확산을 매우 서정적인 필체로 묘사하기에 앞서, 교회가 세상에 전파되면서 부딪혀야 했던 온갖 곤경에 관한 기사를 앞세운다. 죽음에서 부활하신 그리스도의 승리로 탄생할 심오한 현실을 강조하기 위함이다. 자비를 기초 삼아 하나 된 백성을 중심으로 새로운 인류가 서서히 드러나기 시작하며, 이 인류는 오로지 천주 성령의 인도에 자신을 내맡길 것이다.
■ 제2독서(묵시 1,9-11ㄴ.12-13.17-19)
박해의 어려움 속에서도 요한묵시록 저자는 그늘에 가려져 있던 현실에 대한 계시로 희망을 잃지 않는다. 세계 교회를 상징하는 일곱 교회에 글을 쓰면서 그는 역사의 주인이신 그리스도의 승리를 선포할 수 있었다. 그분은 역사가 시작될 때부터 함께 하셨으며, 당신 부활로 드러날 완성을 향하여 이 역사를 이끌어 오신 분이다. 그분은 눈에 보이는 현실로 말미암아 좌절하지 않도록 당신을 믿어 고백하는 사람들에게 늘 희망을 선사하시는 분이다.
■ 복음(요한 20,19-31)
복음저자 요한은 단 하나의 이야기 안에 세 가지 장면, 곧 부활하신 예수님이 제자들에게 처음으로 당신 모습을 드러내심과 성령을 보내심과 죄의 용서를 위해 당신 제자들을 세상에 파견하심을 요약해서 전해준다. 복음저자 루카와는 달리 요한에게 예수부활과 성령강림 사건은 동일한 기본적 사건의 양면으로 인식되었다. 아울러 사도 토마스의 모습에서 볼 수 있듯이, 부활사건 이후에도 사도들의 신앙은 여전히 어려운 지경에 놓여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부활사건은 역시 사랑과 믿음 없이는 이해할 수 없는 사건이었으며, 지금도 변함이 없다.
[새김]
■ 스승 예수 그리스도의 부활 사건은 제자들을 중심으로 한 초대교회 공동체에 크나큰 희망과 용기를 불러일으켰으며, 그래서 제자들은 스승과 함께하며 직접 듣고 목격했던 그분의 말씀과 행적을 힘차게 선포해 나갈 수 있었다. 말씀하셨던 대로 그분은 인간 구원을 위해 수난을 받으시고 십자가에 못 박혀 돌아가셨다가 삼 일만에 부활하셨기 때문이다. 문자 그대로 가장 기쁜 소식이었으며, 이 구원의 기쁜 소식이 온 세상에 전파되어 어두움 속을 걷고 있는 사람들이 새로운 삶을 펼쳐나갈 수 있도록 제자들과 초대교회 신자들은 부활신앙인으로서의 사명을 다해야 했다.
■ 부활시기를 살아가는 현대의 신앙인들에게 있어서 초대교회 신자들의 모습은 그대로 본받아야 할 모습이다. 유다인들의 차가운 시선과 떨치기 어려운 두려움, 사도 토마가 보여준 약한 믿음과 고통스러운 빈곤 속에서도, 부활신앙을 드러내 보이겠다는 일념으로 하나 되고 나누고 베풂으로써 교회의 진정한 모습과 존재 가치를 입증해 나갔던 신앙의 선조들이었기 때문이다. 부활신앙은 분명 그리스도의 부활로 우리 자신의 부활을 믿어 고백하는 신앙, 아낌없는 나눔과 베풂을 기초로 하는 실천적 행동으로 드러내야 할 신앙이다. 부활신앙인으로 부활시기를 열심히 꾸며나가자.
교우 여러분, 부활신앙은 드러나는 생명력을 지녀야 합니다.
신고사유를 간단히 작성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