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리학자 베르가드는 남성 7,000명을 대상으로 연구한 끝에 좋은 남편의 공통점을 다음과 같이 찾았습니다.
첫째, 침착하다. 다툴 때 목소리를 높이지 않고 갈등을 대강 끝내지 않는다.
둘째, 성실하다. 자기 관리를 잘하고 약속을 꼭 지킨다.
셋째, 안정적인 삶을 중요시한다.
어떻습니까? 이 글을 보신 남편은 자기 자신이 ‘좋은 남편’인 것 같습니까? 많은 사람이 좋은 남편의 기준으로 이 세 가지를 말하고 있는데, 자기는 다르다면서 거부하겠습니까? 혹시 ‘이 정도면 충분히 좋은 남편’이라면서 자기에게는 관대하고, 다른 이에게는 엄격한 모습을 취하고 있었던 것이 아닙니까?
위의 세 가지 좋은 남편의 공통점은 결국 아무렇게나 살지 않겠다는 다짐이 아닐까 싶습니다. 즉, 더 좋은 방향으로 변화되는 자신의 진정한 성장을 가져오는 것입니다. 그리고 이러한 모습이 나의 불행이 아닌, 나의 행복을 가져다주는 길이 됩니다.
생각해 보면, 주님께서도 계속 우리에게 좋은 사람, 사랑을 적극적으로 실천하는 사람이 되라고 명령하신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것이 ‘나’말고 ‘남’을 위한 것이었을까요? 물론 그 순간에는 손해 보는 느낌이 들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우리는 주님으로부터 더 큰 선물을 받게 됩니다. 바로 하느님 나라 안에서 영원한 생명을 얻게 된다는 엄청난 선물의 주인공이 될 수 있습니다.
연중 시기의 마지막 주간을 지내면서, 복음 말씀은 계속해서 세상의 종말에 대한 말씀이 등장합니다. 특히 이스라엘 환난에 대해 계시해주십니다. 하느님 분노의 날은 곧 닥쳐올 것이고, 그날에 예루살렘은 짓밟힐 것이며, 사람들은 칼날에 쓰러지거나 포로가 되어 다른 나라에 잡혀갈 것이라고 하시지요. 그러나 이렇게 끔찍한 종말의 메시지가 여기서 멈추는 것은 아니었습니다. 바로 희망을 동시에 이야기해주십니다.
이렇게 어려울 때, 주님께서는 또다시 ‘사람의 아들’ 모습으로 와서 선택된 자들을 보호해 주실 것이라고 하십니다. 따라서 걱정할 것이 하나도 없다는 것입니다. 주님 사랑에 의해 우리는 구원될 수 있습니다. 단, 주님을 거부하고 악을 사랑하는 삶을 통해서는 절대로 가능하지 않습니다. ‘좋은 사람’, ‘사랑을 적극적으로 실천하는 사람’이 될 때만 끔찍한 종말의 세계에서도 주님을 통해 구원될 수 있습니다.
좋은 사람, 특히 주님께서 간절하게 원하시는 사랑을 적극적으로 이 세상 안에서 실천하는 사람이 되어야 합니다. 결코 남 좋은 일만 시키는 손해 보는 것이 아닙니다. 가장 큰 선물이 주님의 사랑 안에서 우리에게 주어진다는 것을 늘 기억해야 합니다.
신고사유를 간단히 작성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