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원주보

수원주보

Home

게시판 > 보기

오늘의 묵상

10월 4일 _ 양승국 스테파노 신부

작성자 : 홍보국 작성일 : 2025-10-04 조회수 : 85

복음: 루카 10,17-24 

 

오직 작음과 가난과 겸손만을 찾았던 프란치스코! 

 

 

오늘은 가톨릭교회 내 다양한 영성의 줄기 안에 가장 보편적이면서도 매력적인 영성으로 각광받고 있는 프란치스칸 영성의 축제일입니다. 

 

하느님께서 작고 가난하고 겸손한 사람을 더욱 애지중지하신다는 진리는 오늘 기념일을 맞이하는 아시시의 성 프란치스코를 통해서 확연히 드러났습니다. 

 

오직 작음과 가난과 겸손만을 찾았던 프란치스코였습니다.

한평생 가난한 자, 작은 자, 겸손한 자가 되기 위해 그리도 기를 썼던 프란치스코였습니다. 

 

프란치스코는 후배 프란치스칸들이 모두 순례자, 여행자, 다시 말해서 노숙인처럼 생활하기를 원하셨습니다.

다양한 형태의 정착에서 해방되는 것이 순례자를 위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는 사실을 알고 계셨던 프란치스코였기에, 추종자들이 고정적인 거주지를 소유하는 것을 원치 않으셨습니다. 

 

“형제들을 위해 지은 성당이나 초라한 집이나 다른 건물들이 프란치스칸 회칙에 따라 거룩한 가난에 어울리지 않으면 형제들은 절대로 받아들이지 말 것을 명심하십시오.

그리고 거기서 항상 나그네나 순례자같이 거주하십시오.” 

 

뿐만 아니라 프란치스코는 자유로운 순례자의 길을 가로막는 가장 위험한 요소가 ‘돈’임을 강조하셨습니다.

그래서 형제들에게 자주 강조하셨습니다. 

 

“모든 것을 버린 우리가 아무것도 아닌 것 때문에 하늘나라를 잃지 않도록 조심합시다.” 

 

프란치스코 성인의 겸손은 여러 문헌에서 발견할 수 있는 자신에 대한 ‘지칭’을 통해서 잘 알 수 있습니다.

프란치스코는 자신을 ‘본인은...’이라고도 하지 않았습니다.

‘나는...’이라고도 하지 않았습니다. ‘아랫사람’, ‘보잘것없고 약한 사람’, ‘천한 사람’, ‘모든 사람의 종’, ‘다른 형제들의 발아래 있는 사람’, ‘주 하느님의 부당한 종’ 등으로 자신을 칭했습니다. 

 

프란치스코는 길을 가다가도 자신보다 더 가난한 사람을 만나면 자신이 입고 있던 외투를 서슴없이 내어주면서 이렇게 말했습니다. 

 

“형제들이여, 우리는 이 외투를 본래의 주인인 저 가난한 사람에게 돌려주어야 합니다.

이 외투는 우리보다 더 가난한 사람을 만날 때까지만 우리가 잠시 빌린 것입니다.

나는 결코 도둑이 되고 싶지 않습니다.

우리보다 훨씬 더 필요한 사람에게 우리 것을 나누지 않는다면 우리는 도둑이나 다를 바가 없습니다.” 

 

이 세상에서 가장 작은 사람이 되기를 간절히 원했던 프란치스코였지만, 역설적이게도 지금 그는 이 세상에서 가장 큰 사람이 되어 있습니다.

오늘도 수많은 젊은이들이 그의 생애를 따라가고 있습니다.

세상 사람들은 그를 일컬어 ‘제2의 그리스도’ ‘인류역사상 가장 위대한 성인’이라 칭하는데 주저하지 않습니다. 

 

프란치스코의 그 가난, 그 겸손, 그 단순함의 영성이 오늘 다시 한번 우리 교회를 쇄신시키는

지렛대가 되길 바랍니다.

복음적 가난으로 방향을 되돌리는 길만이 우리 교회가 사는 길이며, 교회를 자유롭게 하는 길이며, 구원되는 길임을 알게 되길 바랍니다. 

신고사유를 간단히 작성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