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음: 루카 17,11-19
한 번만 생각을 뒤집어보십시오!
예수님 시대 가장 고달프고 힘겨운 삶을 살아가던 사람들이 있었는데, 바로 나병 환자들이었습니다.
가족과 세상으로부터 격리되고 단절된 나병 환자들의 고통과 외로움은 그야말로 사무쳤습니다.
어쩌면 그들은 살아있지만 죽은 목숨이었습니다. 일종의 사형 선고를 받은 것이나 마찬가지였습니다.
나병 환자들은 일반인들의 구역에서 살지 못하고 성 밖으로 나가야만 했습니다.
토굴을 파거나 움막을 짓고 산짐승처럼 살았습니다.
그나마 동료 나병 환자의 모습을 보면서, 나만 괴로운 것이 아니로구나, 하면서 위로를 받았고,
동병상련의 정을 느꼈습니다.
다른 사제나 레위인들은 본체만체하며 서둘러 자리를 피했겠지만, 예수님께서는 그들의 간절한 외침을 흘려버리지 않으시고 귀담아들으셨습니다.
그들의 절박한 처지, 오랜 고통의 세월을 눈여겨보셨습니다.
그리고 아주 쉽고 간단한 방법으로 그들을 지긋지긋한 고질병을 말끔히 치유해주십니다.
“가서 사제들에게 너의 몸을 보여라.” 예수님의 그 말씀 한마디로 이미 나병 환자 열 사람의 치유가 시작되었습니다.
구원이 시작되었습니다.
새로운 생명의 시작되었습니다.
나병 환자들의 목소리에 담긴 절박함을 한번 보십시오.
율법의 규정에 따라 그들은 민간인들로부터 일정한 거리를 유지해야 했습니다.
멀찍이 떨어져 있었던 그들은, 혹시라도 자신들의 목소리가 예수님 귀에 닿지 않을까 두려워하며,
젖먹던 힘까지 다해 크게 외칩니다.
“예수님, 스승님! 저희에게 자비를 베풀어주십시오.”(루카 17,13)
주님의 자비를 부르짖는 나병 환자들의 마음가짐도 대단했을 것입니다.
“주님께서 이 지긋지긋한 나병만 치유해주신다면, 제가 가진 모든 것을 다 봉헌하겠습니다.
주님의 둘도 없는 제자가 되어, 세상 끝날 때 까지 당신을 따르겠습니다.”
그러나 치유의 은총을 입자마자, 그들은 불과 몇 시간 전의 결심과 다짐들을 까마득히 잊어 버렸습니다.
언제 그랬냐는 듯이 룰루랄라하며, 각자의 길을 갔습니다.
오직 단 한 명의 치유받은 사람만이 돌아와 주님께 찬양과 감사를 드렸습니다.
배은망덕한 아홉 명의 행실 앞에 살짝 빈정이 상하셨던지 예수님께서 강하게 질책하셨습니다.
“열 사람이 깨끗해지지 않았느냐?
그런데 아홉은 어디에 있느냐?
이 외국인 말고는 아무도 하느님께 영광을 드리러 돌아오지 않았단 말이냐.”(루카 17, 17-18)
오늘 우리는 과연 어느 쪽에 서 있습니까?
주님께서 무상으로 베푸신 무수하고 무한한 은혜 앞에 감사와 찬양을 드리고 있는 한 명 쪽입니까?
아니면 주님께서 매일 선물로 주시는 폭포수 같은 사랑과 은총은 까마득히 잊어먹고, 제 갈 길을 가고 있는 아홉 명 쪽입니까?
하느님께서 가장 즐겨 받으실 봉헌은 바로 감사의 마음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일생토록 베푸신 하느님 자비에 대한 우리 인간 측의 응답은 너무나도 당연히 감사여야 하지 않을까요?
참 그리스도인이라면, 매일 아침 입을 열었을 때, 즉시 튀어나와야 하는 말이 감사의 말이어야 합니다.
찬미의 노래여야 합니다.
축복의 인사여야 합니다.
대체로 불평불만은 인간관계에서 시작되는 것 같습니다.
특히 가장 가까운 사람들로부터 말입니다.
저 사람은 대체 왜 저러나?
저 사람은 왜 인생 저렇게 사나?
저 사람은 왜 나와 이토록 철저하게도 다른가?
내가 과연 언제까지 저 사람을 참아줘야 하나?
그러나 한 번만 생각을 뒤집어보십시오.
크게 뒤로 한번 물러나서 생각해보십시오.
사람은 선물입니다.
이 세상 그 어떤 보물보다 값진 선물입니다.
한 사람이 내게 온다는 것은 주님께서 나의 성장과 행복을 위해 보내주신 천사가 온다는 것입니다.
그래서 항상 필요한 태도는 존재에 대한 감사의 마음입니다.
이웃에 대한 불평불만은 이제 그만 접읍시다.
하느님께 대한 감사와 찬미의 노래로 우리 삶을 가득 채웁시다.
신고사유를 간단히 작성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