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원주보

수원주보

Home

게시판 > 보기

오늘의 묵상

10월 28일 성 시몬과 성 유다 사도 축일(가해)

작성자 : 김민호 작성일 : 2017-10-29 조회수 : 411

성 시몬과 성 유다(타대오) 사도 축일(가해)

 

오늘 복음에서 예수님께서는 기도 하시려고 산으로 나가시어, 밤을 새우며 하느님께 기도하셨다.”(루카 6,12)고 알려줍니다. 예수님께서 을 찾으시는 이유는 한적하고 당신과 아버지 단 둘이 있기에 방해 받지 않는 장소이기 때문이었을 것입니다.

예수님께서는 밤새워 그렇게 간절하게 기도하시면서 아버지의 뜻을 살피시고 난 뒤에 뽑으셨던 사도들의 이름을 한 분 한 분 우리에게 들려주십니다. 이유에 대해서 생각해 봅니다. 바로 당신의 사도들에 대한 관심과 사랑의 표현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당신의 사도들 한 분 한 분을 기억하시는 예수님의 기억 속에 마찬가지로 우리 한 사람 한 사람의 이름도 기억되고 있을 것이라고 확신합니다. 이러한 확신을 가지면서 참으로 내가 그리스도인이고 사제인 것이 얼마나 감사한 일인가를 깨닫습니다.

 

열두 사도들의 면면을 보면, 참으로 다양한 배경을 가진 사람들을 당신의 사도로 뽑으십니다. 그 중에는 우리의 관점으로는 이해하기 힘든, 참으로 함께하기 힘든 제자들의 조합이 있음을 발견합니다.

구체적으로 물고기를 잡아 생계를 유지하던 무지한 어부, 로마제국에 협력하며 민족을 배신한 세리에 이어서 그와 맞서는 정반대의 신분으로 반 로마 세력이었던 열혈당원마저 예수님께서는 제자로 뽑으셨던 것입니다. 바로 여기에 하느님 뜻의 신비가 있음을 깨닫습니다.

 

우리의 생각과 하느님의 생각의 차이가 있음을 알 수가 있습니다. 세상을 살아가면서 우리 역시 이러한 선택을 해야 하는 순간이 있을 때 어떠한 선택을 해야 하나를 미리 알려 주시는 것 같습니다. 나의 뜻이 아닌 하느님의 뜻을 찾아야 함을 알려 주십니다.

 

아는 것이 힘인 시대를 살아가고 있습니다. 많이 아는 것이 힘이고 출세의 길이라고 생각합니다. 또한 이러한 사람이 성공을 가져다 준다고 이들을 찾는 것이 바로 현대 사회의 경향이기도 합니다. 동시에 우리는 이러한 추세가 가져다 주는 심각한 문제도 바라보고 있습니다. ‘아는 것이 힘인 사회에서는 인간이 보이지 않습니다. ‘자신만이 보입니다. 그래서 다시 인간을 보는 눈을 가진 사람을 찾기 시작합니다. 그러한 눈은 아버지의 뜻을 찾는 것에서 나옵니다. 매사에서 아버지의 뜻을 찾는 우리가 되었으면 합니다.

 

새로운 하루를 시작하면서 우리의 이름을 한 사람, 한 사람 불러 주시고 기억해 주시는 예수님께 감사를 드립니다. 이 감사하는 마음으로 하느님을 바라보고 하느님의 뜻을 찾게 하고 하느님의 사랑을 실천하도록 초대해 주시는 하느님께 감사를 드립니다. 그리고 오늘 축일을 맞으시는 여러분 모두에게 다시 한 번 축하를 드립니다.


신고사유를 간단히 작성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