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림 제 3주간 금요일(나해)
제목 : 기다림이 있는 사람
“어머니, 저는 한순간도 어머니를 잊어본 적이 없어요.”
외국으로 입양 갔다가 20년 만에 돌아온 아들이 공항에서 어머니에게 처음으로 한 말이다.
어머니는 살림이 어려워 도저히 많은 자식을 다 부양할 수가 없었다. 그래서 여인은 눈물을 머금고 어린 아들을 미국에 입양시켜야 했다.
이제는 훌쩍 커서 대학생이 되어 돌아온 아들은 어머니에게 손때가 묻어 닳아버린 작은 돌과 10원짜리 동전을 보여주었다. 그것은 미국으로 떠날 때 어머니가 고국과 어머니를 잊지 말고 기억해 달라며 아들의 손에 쥐어준 것이었다.
“힘이 들 때 이 돌과 동전을 보며 매일 어머니를 생각했다.”는 아들의 말에 어머니는 통곡했다.
다섯 살 어린이가 이국땅에서 언젠가는 다시 어머니를 만날 수 있다는 희망으로 외로움과 고통을 이겨낸 것이다.
기다림이 있는 사람은 행복한 사람이다. 우리 삶에서 기다리는 것이 없다면 얼마나 삭막할까?
마리아의 노래는 하느님 앞에서 자신을 온전히 비운 사람이 부르는 기다림의 노래다.
지금 마리아의 노래는 더 절실하게 요구된다. 많은 사람들이 여전히 고통에 짓눌리고 두려움에 잠을 설치기 때문이다.
마리아의 노래는 초기 그리스도교 공동체의 아름다운 노래였다. 초대교회 신자들은 고통스럽고 힘들었지만 마리아의 노래를 부르고 주님을 기다리면서 견뎠을 것이다.
그런데 모든 것을 맡겼던 처녀 마리아처럼 되기에는 우리의 신앙은 여전히 부족하다. 아직 온전하게 마음을 비우지 못해서일까? 그러나 우리는 마리아처럼 다시 한 번 자신을 비우려고 노력해야 한다.
믿음을 갖고 주님을 기다리는 사람이야말로 정말 행복한 사람이 아닐까?
신고사유를 간단히 작성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