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원주보

수원주보

Home

게시판 > 보기

오늘의 묵상

8월 28일 _ 상지종 베르나르도 신부

작성자 : 관리자 작성일 : 2018-08-28 조회수 : 329

2018. 08. 28 성 아우구스티노 주교 학자 기념일 

마태오 23,23-26 (율법 학자들과 바리사이들을 꾸짖으시다) 

그때에 예수님께서 말씀하셨다. “불행하여라, 너희 위선자 율법 학자들과 바리사이들아! 너희가 박하와 시라와 소회향은 십일조를 내면서, 의로움과 자비와 신의처럼 율법에서 더 중요한 것들은 무시하기 때문이다. 그러한 십일조도 무시해서는 안 되지만, 바로 이러한 것들을 실행해야만 했다. 눈먼 인도자들아! 너희는 작은 벌레들은 걸러 내면서 낙타는 그냥 삼키는 자들이다. 불행하여라, 너희 위선자 율법 학자들과 바리사이들아! 너희가 잔과 접시의 겉은 깨끗이 하지만, 그 안은 탐욕과 방종으로 가득 차 있기 때문이다. 눈먼 바리사이야! 먼저 잔 속을 깨끗이 하여라. 그러면 겉도 깨끗해질 것이다.” 

<성체(聖體)와 성합(聖盒)> 

“그리스도의 몸!” 
“아멘!” 

정성을 다해 성합 안의 성체를 들어 올립니다. 

성체를 영하는 교우의 눈과 
성체를 나누어주는 사제의 눈이 
성체로 모아지면서 거룩한 일치를 이룹니다. 

성체 분배를 할 때마다 
느껴지는 전율이 있습니다. 
거룩함의 떨림입니다. 

성합을 가득 채운 성체가 
하나하나 교우들에게 먹힘으로써 
성합이 비워져 갈 때, 

그 안에 거룩한 나눔이 있으며, 
이 나눔은 곧 온 몸과 마음을 
떨림 가득한 새 생명의 기운으로 채웁니다. 

성합은 거룩한 그릇입니다. 

단지 겉을 금으로 입히고 
거룩한 문양으로 장식하였기에 
거룩한 그릇이 되는 것은 아닙니다. 

그 안에 다른 이들에게 먹힘으로써 
거룩하게 변화시킬 그리스도의 몸을 
모시고 있기에 거룩한 것입니다. 

성합 속에 담긴 
성체를 바라보아야 합니다. 

성체를 받아먹음으로써 
우리는 성합이 됩니다. 
하지만 여기에 머물러서는 안 됩니다. 

성체를 받아 모신 우리는 
과시적인 거룩함이나 외적인 고상함만이 
빛나는 성합이 아니라, 
성합을 거룩하게 만드는 
또 하나의 성체가 되어야 합니다. 

그리하여 
이 땅의 하느님나라를 싹 틔우기 위한 
작은 씨앗이 되어 썩어야 하고, 
다른 사람들을 살리기 위한 
생명의 양식이 되어 먹혀야 합니다. 

오늘 누구에게 어떻게 성체가 되어주시겠습니까?

신고사유를 간단히 작성해 주세요.